'무대책이 대책?' 구조개혁 대상 충북 대학들 눈치보기
하위그룹 분류 원인도 몰라…이의신청 결정 못한채 경쟁대학 움직임 '촉각'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대학구조개혁 평가 2단계 대상에 포함된 충북지역 대학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최종 평가에서도 하위그룹에 남게 되면 정부 재정지원 제한 등 강력한 페널티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개혁 칼날을 피하기위해 치열한 생존경쟁이 불가피하지만 정작 이들 대학은 갈피조차 잡지 못한 채 서로 눈치보기에만 급급해하고 있다.
12일 도내 대학가에 따르면 청주대와 영동대, 한국교통대,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꽃동네대 등 5곳이 지난 5일 교육부로부터 대학구조개혁 2단계 평가대상인 하위그룹에 포함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극동대도 이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학교 측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하위그룹에 포함된 전국 30개 대학 가운데 최종 평가에서 10% 정도 대학에 마지막 구제 기회를 주기로 했다.
당장 하위그룹에 포함된 대학들은 12일까지 이의신청 기간을 거쳐 이달 내로 교육부에 중장기발전계획과 교육과정, 특성화 등에 대한 대학자체평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하위그룹에 속한 도내 대학 대부분은 마감일인 이날까지도 이의신청서 제출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향후 이뤄질 2차 평가의 대처 방안에 대해서도 외부에 함구하는 분위기다.
이의신청 제출이 최종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는데다 1차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은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대학은 대부분 1차 평가에서 정량평가는 합격점은 받은 반면 정성평가에서 최하위에 머문 것으로 알려졌다.
기준이 정해진 정량평가와 달리 정성평가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부문을 평가하는 것으로 총점만 통보받은 상황에서 명확한 원인 분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청주대의 경우 학내 분규를 원인으로 꼽는 학교 측과 학교가 투자를 게을리 한 탓이라고 주장하는 교수회 등이 대립하는 일도 벌어졌다.
대학 구조개혁의 근거가 되는 법안 제정이 지연되고 있는 점도 이들 대학이 눈치를 보는 이유 중 하나다.
현재 새누리당 김희정 의원이 발의한 '대학 평가 및 구조 개혁에 관한 법률' 제정안은 국회 법안심사소위에 계류 중이다.
교육부는 이 법안 통과를 전제로 대학 구조개혁 평가를 진행했지만 국회 논의 결과에 따라 올해 평가가 정원 감축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하위 그룹에 포함되더라도 경우에 따라 가장 두려운 정원 감축의 철퇴를 피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하위 그룹에 포함된 한 대학 관계자는 "평가 결과에 따라 대학의 존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교육부에서 어떤 점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명확히 알 수 없어 솔직히 준비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교육부는 오는 8월 대학을 5개 등급으로 평가한 결과를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상위 그룹은 점수에 따라 A, B, C 등급으로 나뉘고, 하위 그룹은 2단계 평가에서 D, E등급이 최종 산출되는 가운데 하위등급으로 남으면 재정 지원과 학자금 대출 제한, 정원 감축 등의 페널티를 받게 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