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국교 50주년 기념식' 참석 놓고 본격 '퍼즐싸움'

편집부 / 2015-06-11 17:02:52
"고위급 참석검토"…고위급에 정상도 포함된 듯
한일, 가능성 열어놓고 "결정된것 없다" 신경전


한일, '국교 50주년 기념식' 참석 놓고 본격 '퍼즐싸움'

"고위급 참석검토"…고위급에 정상도 포함된 듯

한일, 가능성 열어놓고 "결정된것 없다" 신경전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한일 양국이 오는 22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을 놓고 본격적인 수 싸움에 들어갔다.

주일 한국대사관이 도쿄에서, 주한 일본대사관이 서울에서 각각 50주년 리셉션을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상대 측 행사에 어떤 급에서, 어떤 방식으로 참석할지를 놓고 적지 않은 신경전을 벌이는 모양새다.

특히 이번 50주년 행사는 과거사 갈등으로 한일관계 경색국면이 계속되는 가운데 관계개선으로의 국면전환을 위한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물밑에서 상대 측 의중을 타진해온 것으로 알려진 한일 양국은 11일 도쿄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위한 국장급 8차 협의에서 이 문제를 공식 논의했다.

우리측 대표인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은 8차 협의 직후 기자들에게 "기념행사에 양국 정부의 인사가 참석하는 문제에 관해 협의가 있었다"면서 "계속 협의를 하기로 했고,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은 "적절한 고위급 인사의 각 기념행사 참석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결정된 바는 없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이날 "서울과 도쿄의 대사관 기념식 행사에 각각 누가 참석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현시점에서 아직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고위급 인사로는 양국 정상인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양국 외교수장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집중 거론된다.

우리 정부가 언급하는 고위급 인사의 범주에는 박 대통령도 포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국교정상화 50주년 계기에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사실상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이 돼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 뚜렷한 진전이 없는 한 현재로서는 상정하기 어려운 시나리오다.

차선으로 나오는 것이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서울과 도쿄에서 개최되는 상대 측 리셉션에 참석하는 문제다. 이는 가장 파격적 시나리오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것 역시 부담스러우면 양 정상이 상대 측 행사에 영상 등을 통해 축하 메시지를 전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50주년을 계기로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이 경우 도쿄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하고, 윤 장관이 도쿄에서 열리는 우리 측 리셉션에 단독 또는 기시다 외무상과 함께 참석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리면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회담 문제도 논의될 수 있을 전망이다.

윤 장관은 지난 4일 "갈 수 있는 마음의 준비는 돼 있다고 생각한다. 이제 빨리 갈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고,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도 11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외교장관 간 회담은 언제라도 가능하고, 접촉·교류에 있어서 열린 입장"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이 일본을 방문하고, 한일 정상 차원에서는 상대 측 리셥션에 축하 메시지를 보내는 방안도 있을 수 있다.

정상급이나 외교장관이 어려우면 차관급 이하 인사가 참석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서울에서 열리는 일본 측 행사에 참석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관건은 이번 행사가 단발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관계개선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교감과 이를 바탕으로 한 양국 정상의 결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이 언급한 '여건 조성'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여건 마련을 위한 소재는 이날 국장급 8차 협의에서 논의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의 진전이나 종전 70주년 계기 아베 신조 총리의 담화에서 과거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분명한 역사인식 표명,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한 강제노동 사실 반영 등이 고리가 될 수 있다.

이들 문제에서 당장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더라도 일본 측이 '최소한의 성의'를 보여야 50주년 리셉션을 관계개선의 단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