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최대 자유무역협정 TFTA 체결
26개 회원국…대륙 GDP 절반 넘는 경제권 공동체 창설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26개국이 참여하는 아프리카 최대 자유무역협정(The Tripartite Free Trade Area·TFTA)이 체결된다.
아프리카 국가 정상들이 10일(현지시간) 이집트 샤름 엘셰이크에서 압델 파타엘시시 이집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정상회의에서 TFTA에 서명한다고 영국 방송 BBC 등 외신들이 전했다.
TFTA는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 동아프리카공동체(EAC), 동·남아프카공동시장(Comesa) 등 아프리카 대륙 내 기존 자유무역협정들을 통합한다.
이에 따라 TFTA가 발효되면 아프리카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을 넘는 1조달러(약 1천110조원)에 달하는 경제권을 회원국으로 하는 최대 자유무역협정이 출범하는 셈이다. 인구로는 6억2천만명을 넘는다.
TFTA의 세부 내용은 이번 주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최되는 아프리카연합(AU) 정상회의에서 공식 공개될 예정이다.
엘시시 대통령은 연설에서 "오늘 우리가 하려는 것은 아프리카 지역 통합 역사에 매우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는 "TFTA는 아프리카가 거대한 진보를 이루고 전 대륙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환영했다.
TFTA는 각국 국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 발효되는데 주도 세력은 2017년에 승인 절차가 이뤄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 국가들은 식민지배가 끝난 이후 대륙 내 교역 증진 방안을 모색해왔으나 도로, 철도, 항공 등 열악한 인프라 시설로 인해 별다른 진전을 거두지 못했다.
이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대다수 상품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없애거나 낮춰 교역을 증진함으로써 각국의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목표 아래 지난 5년간에 걸쳐 TFTA 협상을 진행해왔다.
케냐의 칼레스투스 주마 교수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매우 흥미로운 움직임이라며 TFTA가 이행되면 대륙 전체 교역에서 대륙 내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의 12%에서 3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보다 커진 시장을 갖게 됨으로써 비용 효율적으로 상품을 생산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아프리카 대륙의 금융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더 많은 투자자들을 유치함으로써 역내 금융이 강화되는 것도 TFTA의 또 다른 효과라고 설명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