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대응체계 재정비…메르스 확산 잡나

편집부 / 2015-06-10 15:36:14
△ 메르스 '치료병원'으로 이송된 의심환자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10일 오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치료병원으로 지정된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보라매병원에 의심환자가 이송돼 환자 대기실로 옮겨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이날 음압격리실에서 중증 확진환자를 진료하는 대학병원급 '치료병원' 16곳과 중증 의심환자를 진료하는 병원급 '노출자 진료병원' 32곳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치료병원으로 서울 보라매병원, 대전 충남대병원, 경기 분당서울대병원, 충남 단국대 병원 등이 운영되며 노출자 진료병원으로는 서울 서북병원, 대전 대청병원, 경기 수원의료원 등이 지정됐다.

방역당국, 대응체계 재정비…메르스 확산 잡나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10일 대국민 담화를 내놓으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대응 전열을 새롭게 가다듬었다. 메르스 확산에 제동을 걸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담화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조처는 메르스 확진자·의심 환자·비(非)감염 환자가 각기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분리형' 의료체계의 도입이다.

사태 초기 때 메르스 감염자와 일반인이 병원 안에서 마구 뒤섞여 바이러스가 빨리 퍼졌던 만큼 이들 사이에 격벽을 쳐 사태의 핵심인 '병원 내 감염'을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취지다.

메르스 확진자는 전국 16곳 종합병원을 전환한 '환자치료병원'에서, 의심 환자는 '노출자 진료병원'에서 각각 치료를 받는다. 그 외 메르스에 노출되지 않은 일반 환자들은 '안전 병원'에 가게 된다.

환자치료병원, 노출자진료병원, 안전병원 명단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공개돼 국민 누구나 자기 상황에 맞는 병원을 갈 수 있게 했다.

불협화음을 내던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및 지원도 강화했다. 10일 보건복지부와 시·도 보건국장이 만나는 긴급회의를 열어 지자체와의 정보 공유를 늘리고 공동 대응체계 토대를 다시 다졌다.

또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가 갱신하는 메르스 노출자 및 격리 대상자 명단을 전국 각지의 요양기관에 실시간으로 제공키로 했다.

지방의 메르스 감염 위험자가 방역망의 '구멍'을 빠져나가 면역력이 약한 고령 환자가 많은 요양 시설에 들어올 개연성을 차단하는 것이 목표다.

최경환 총리대행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대응 지자체 단체장 간담회'에서 "지자체가 메르스 대응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즉각 해결하고, 필요 예산이 신속히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 불안을 줄이려는 고심도 엿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은 14∼18일 예정된 미국 방문을 외교적 결례를 감내하며 연기했다.

이번 메르스 사태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만사를 제쳐놓고 민심 다독이기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국민 담화는 애초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불과 몇 시간을 앞두고 최경환 총리대행 발표로 급선회, 담화의 상징적 비중을 키웠다.

최 총리대행이 메르스 대응체제의 구심점인 '범정부 메르스 일일 점검회의'를 주재해온 만큼 책임과 신뢰의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메르스는 지난달 20일 첫 환자가 발생한 이래 초동 대처 미숙과 국내 병원의 취약한 감염 관리 등 악재가 겹치면서 대거 확산해 10일 기준으로 확진자가 108명에 달하고 이 중 9명이 사망했다.

이 같은 환자 수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은 세계 2위로, 중동 바깥에서 나타난 메르스 발병 사례 중 역대 최대 규모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