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발견된 가시연꽃과 독수리,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발견된 대청부채(왼쪽부터) |
한려해상·태안해안 국립공원 생물 9년새 2배↑
아열대성 서식종도 발견…"고유생태계 유지 노력 필요"
(세종=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국내 대표적인 해상 국립공원인 한려해상·태안해안 국립공원에 사는 야생생물이 9년 전보다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작년에 한려해상국립공원에 대한 자연자원조사 결과 야생생물 종류가 4천383종으로, 2005년에 조사된 2천461종보다 78% 늘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이 지역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총 24종이 확인됐다. 이 중 1급인 흰꼬리수리와 2급인 독수리·가시연꽃·자주땅귀개 등 10종이 처음 발견됐다.
아열대성 기후에 서식하는 무늬박이제비나비·부채메꽃버섯 등 9종도 발견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생태계 변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추정됐다.
공단 관계자는 "발견된 아열대생 생물은 곤충과 버섯류로, 국내 다른 지역에서 이미 관찰된 바 있다"고 말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는 3천572종의 야생생물이 관찰돼 2005년 조사에서의 1천741종보다 105% 증가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모두 16종이 관찰됐고, 이 중 2급인 해호리기·물수리·대청부채 등 6종이 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됐다고 공단은 설명했다.
특히 대청부채는 대청도와 백령도 일대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종으로, 향후 서식지에 대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공단은 밝혔다.
공단은 그러나 표범장지뱀과 닻무늬길앞잡이 등 일부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남획과 탐방객 출입, 개발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고, 태안해변길을 중심으로 가시박과 돼지풀 등 외래생물이 유입되면서 고유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단은 두 국립공원에서 국내 미기록종 버섯류 52종을 발견해 유전자 분석과 해외 유사종 대조 작업 등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신용석 국립공원연구원장은 "한려해상·태안해안 국립공원은 해양과 육상의 생태계가 어우러진 생물다양성의 보고"라며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직접 받는 지역으로 기후변화로부터 생물다양성을 지킬 수 있는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