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후(戰後) 70주년을 맞아 여름 발표할 이른바 '아베 담화'에 대한 전문가 논의가 지난 2월25일 시작했을때의 모습(교도.연합뉴스.자료사진) |
아베담화 전문가회의 위원 "과거 국책 오류 인정해야"
5차회의서 '과거사 반성론'·'한·중의 태도가 문제' 견해 '팽팽'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발표할 전후 70주년 담화(아베 담화)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침략과 식민지배로 치달은 '국책'의 오류를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
일본 총리 관저가 9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아베 담화 자문기구(20세기를 돌아보고 21세기 세계질서와 일본의 역할을 구상하기 위한 유식자 간담회)의 5월22일자 회의록 요지에 의하면, 시라이시 다카시(白石隆) 정책연구대학원대학 학장은 "1915년부터 1941년까지, 19세기 문명의 '황혼시대'에 일본은 국책을 그르쳤다"며 "이를 솔직하고 분명하게 말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간담회 위원인 시라이시 학장은 이어 "일본은 군사대국이 되지 않는다. 국제협조주의로 간다"는 메시지를 세계에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록 요지에 익명으로 발언이 소개된 다른 위원은 "일본은 총리가 몇번이나 공식 성명 형태로 사죄를 했기에 사죄는 충분히 해왔다고 생각하지만 반성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못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금부터 일본이 전쟁 범죄자를 단죄할 수는 없지만, 정말 국가가 반성하고 있는지는 가장 상징적으로는 전쟁에 대한 혐오감, 반성을 차세대에게 전하는가의 문제, 결국 교육에서 드러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른 위원은 "제대로 된 역사인식, 특히 그 전쟁이 침략이었는지에 대해 총리 자신의 인식을 다뤄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위원은 "한국의 위안부에 대해 법적으로는 해결됐다고 해도 마음의 측면에서 위안부가 치유받을 방법을 생각해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과 중국의 태도가 화해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회의록에 의하면, "현재 중국과 한국은 '화해를 하는 것이 이익'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인상이 없다"는 발언과 "중국, 한국에 경제 지원 형태로 막대한 원조를 했지만 각 나라에서 (일본의 지원이) 언급된 것은 매우 적다"는 발언이 나왔다.
또 "중국과 한국은 역사를 외교 카드로 사용하고 있다", "화해는 사죄만으로는 되지 않고, 용서가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다"는 등의 견해도 있었다.
아베 담화 자문기구에는 학계와 재계, 언론계 등에 몸담고 있는 16명의 민간 위원이 참가하고 있다. 자문기구는 지난 2월부터 5차례 걸쳐 회의를 개최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