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야마 "담화 계승한다면 아베담화서 확실하게 명언해야"
![]() |
△ 1993년 8월 4일 오후 일본 총리관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왼쪽) 당시 관방장관과 1995년 8월 15일 역시 총리관저에서 일본의 패전 50주년을 맞아 무라야마담화를 발표하는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오른쪽) 당시 일본 총리의 모습.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
고노, 무라야마와 대담서 "군위안부 강제연행 있었다"(종합2보)
"명확하게 드러난 사실…모집과정에서 감언·거짓말"
무라야마 "담화 계승한다면 아베담화서 확실하게 명언해야"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이세원 특파원 =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전 관방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모집 과정에 관해 명백하게 강제연행이 있었다고 9일 밝혔다.
그는 이날 일본 도쿄도 소재 일본기자클럽에서 열린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와의 대담에서 일본군이 인도네시아에서 네덜란드 여성을 위안부로 삼은 사건을 거론하며 "군이 명백하게 강제적으로 데려가서 위안부로서 일을 시킨 사례"라고 말했다.
고노 전 장관은 이는 네덜란드 측의 조사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났고 네덜란드 정부도 인정하는 것이라며 부정할 수 없다는 뜻을 강조했다.
그는 BC급 전범재판 등에서 인도네시아의 위안소에 관여한 옛 일본군이 처벌받았으므로 이제 끝난 일이라고 하는 일각의 주장에 관해 "그렇다고 그런 사실이 없었다고는 절대 말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고노 전 장관은 고도담화 발표 당시에 팔을 잡아끌고 온 사례 등을 문서로 확인한 것이 아니라서 결국 '강제 연행'이라는 표현이 아니라 '대체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행해졌다'는 서술이 반영됐다고 경위를 설명했다.
그는 위안부 동원 방식에 관해 "감언에 의하거나 거짓말을 해서 모았다. 다른 곳에서 일하는 장소가 있다고 모집한 것도 있고 최근 (아베) 총리의 발언처럼 인신매매 사례가 있을지도 모른다"며 방식은 다양하지만 결국 본인의 의사에 반해서 모은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위안부를 모으고 나서 매우 강제적으로 일을 시켰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군이 이동하면 군이 준비한 차에 타고 이동했다. 완전히 군의 관리에 의한 것이고 이를 보면 명확하게 강제성이 있다고 보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고노 전 장관은 고노담화가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당시 총리가 한국을 방문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조사하겠다고 약속을 하고 나서 이뤄진 조사에 기반을 둔 것이고 고노담화 본문에 한반도 출신을 따로 언급하기도 해 고노담화 자체가 한국에 국한한 것이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으나 군 위안부 문제 전반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고노담화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교육한다는 다짐이 반영된 것을 거론하며 일본이 교육에 더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아베 총리가) 최근에는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렇다면 (전후 70년) 담화 안에 꾸밈없이 확실히 명언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 국제적 의문과 오해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무라야마 담화의 핵심 표현을 반영한 담화를 낼 것을 촉구했다.
그는 과거에 무라야마 담화가 각의에서 부결되면 총리를 그만둔다는 결의로 추진해 만장일치를 얻었고 20년이 지난 지금 담화가 다시 문제가 될 것을 "전혀 상상도 못했다"며 무라야마 담화를 흠집 내려는 최근 분위기에 안타까움을 표명했다.
고노 전 장관은 무라야마담화를 역대 내각이 계승하는 상황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를 또 낼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느낀다는 뜻을 표명하고서 차라리 다른 의미 있는 사업을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그는 "나라면 국민 누구나 거리낌 없이 참배할 수 있는 위령 시설을 만들겠다"며 야스쿠니(靖國)신사처럼 정치인의 참배 논란에서 자유로운 국립추모시설의 건설을 예로 들었다.
일본의 양대 역사 담화를 낸 주역이 이례적으로 공개 대담을 한 것은 아베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 발표를 앞두고 식민지 지배나 침략을 정당화하거나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려는 시도에 제동을 걸겠다는 의지의 표시로 보인다.
고노 전 관방장관은 1993년 8월 4일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무라야마 전 총리는 패전 50주년인 1995년 8월 15일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사죄한 무라야마담화를 각각 발표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