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보건당국 '메르스 불통'…교육부 "확진학생 학교 못들어"

편집부 / 2015-06-08 17:42:33
격리학생 통계 내놓지 못해…교육부-교육청도 학교명 공개 등에 '이견'
△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 마련된 학생 감염병 대책반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육-보건당국 '메르스 불통'…교육부 "확진학생 학교 못들어"

격리학생 통계 내놓지 못해…교육부-교육청도 학교명 공개 등에 '이견'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첫 10대 고교생이 나옴에 따라 8일 학생 감염에 대한 우려가 증폭됐지만, 당국의 대응에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보건복지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간 상황 전파 및 정보 공유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우왕좌왕하는 모양새다.

16세인 이 학생은 경기도 남양주에 살고 있고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의 구체적인 정보 확인 요청에 교육부와 교육청은 학생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다며 보건복지부만 쳐다보고 있다고 책임을 전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보건복지부가 해당 학생의 이름, 주소, 학교 등의 정보를 알려주지 않았다"며 "학부모가 학생의 정보공개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아침 보건복지부에 파견한 직원을 통해 이 학생의 나이와 질병 상태 등의 정보만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이 학생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뒤 이달 1일부터 메르스 의심증상이 발생했지만 교육부는 그동안 관련 정보를 전혀 받지 못했다는 얘기다.

보건당국이 교육부, 교육청에 공식적으로 정보를 주지 않다 보니 교육 당국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현재 없는 상태라는 것이 교육부의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해당 학생은 입원하고 나서 지역사회와 접촉하지 않았고 전염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당장 교육부가 취할 조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육부가 메르스 감염 학생에 대한 정보를 거의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교육부의 '감염병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로부터 전달받은 감염병 위기상황을 관련부서 및 교육기관에 전파하도록 명시돼 있다.

교육부 설명대로라면 이 학생이 어느 학교에 소속돼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상황을 전파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다.

서울시교육청도 보건당국과 불통에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이날 "보건당국은 (메르스 확진 등의 상황에 대해) 연락을 주지 않는다"며 "교육부에도 해당 학생의 정보를 요청했으나 개인 신상이라 줄수 없고 알지 못한다는 답만 들었다"고 말했다.

서울교육청은 확진 학생이 서울 소재 학교 등에 다니는 것이 확인되면 휴업 등의 조치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학생, 교직원의 격리자 통계에 관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간 조율도 더디기만 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연령대별 격리자 통계를 전달받아 학생 수를 파악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이 문제를 보건복지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메르스 사태로 인한 휴업이 일주일째 이어지는 상황에서 학생 통계조차 내놓지 못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지난 3일 보건복지부는 학생과 교사 격리자에 대해 "약 300명이 좀 안된다"고 밝혔지만 교육부는 국회에 32명이라고 보고해 혼선을 빚었다.

이에 따라 학생 안전의 주무부처인 교육부가 메르스 통계나 발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계의 한 인사는 "보건복지부가 학생 감염자 통계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있으므로 교육부가 주도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보 공개에 관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간 이견도 계속 드러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시민도 거주지에서 어떤 학교가 휴업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며 9일부터 휴업 학교를 인터넷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명 공개는 어렵다고 본다"고 부정적인 뜻을 피력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