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 국토안보위원장 "중국이 연방정부 해킹 배후"
중국 강력히 반발할듯…공화 잠룡들 오바마 무른 대응 질타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마이클 매콜(공화·텍사스) 미국 하원 국토안보위원장이 최근 발생한 미 연방인사관리처(OPM)에 대한 해킹 사건의 배후로 중국을 공식으로 지목했다.
매콜 위원장은 7일(현지시간) 미 CBS 방송에 출연해 "지금까지 드러난 모든 위협의 증거들이 중국을 지목하고 있다"면서 "내 판단으로는 중국이 이번 해킹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이번 해킹은 미국 역사상 가장 심각한 정보유출 사건"이라면서 "이번 해킹은 스파이 활동 목적의 일환으로 이뤄진 것으로, 그런 점으로 볼 때 이번 해킹에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한마디로 중국 정부가 조직적으로 미 연방정부 해킹에 관여했다는 것이 매콜 위원장의 주장으로, 중국 정부의 반발이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이미 중국 배후설을 제기한 언론에 "섣부른 결론을 내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생산적"이라며 강력히 이의를 제기한 상태다.
국토안보부는 앞서 지난 4일 OPM 전산시스템이 4월 말부터 해킹당해 전·현직 연방공무원 40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히면서도 배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워싱턴포스트(WP)와 CNN 등 미 언론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제히 중국 정부와 관련 있는 중국 해커들의 소행이라고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공화당 잠룡들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중국의 해킹 공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일제히 비판했다.
마이크 허커비 전 아칸소 주지사는 전날 "백악관의 안이한 대처 방식을 보면 단순히 놀라운 것 이상"이라고 꼬집었고,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은 "미국의 경쟁국이나 적국에 짓밟히고 있는 또 다른 사례"라고 성토했다.
또 칼리 피오리나 전 휴렛팩커드(HP)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이 한때 파트너 국가에서, 또 한때는 경쟁자에서 이제는 적국으로 변하고 있다"면서 "사이버 공간이든 (영유권 분쟁을 빚는) 남중국해든 이제는 중국에 맞서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