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가능한 병원에 환자 몰려들면 큰 혼란 우려"
![]() |
| △ 개회사 하는 장옥주 보건복지부 차관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장옥주 보건복지부 차관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메르스 민·관합동대책반 주최로 열린 '메르스, 바로 알고 극복하자'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
"메르스, 병원내 감염 위주…지역확산 우려 낮아"
전문가들 민관합동세미나서 주장…정보 상세공개 정부에 요구
"검사 가능한 병원에 환자 몰려들면 큰 혼란 우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병원 내 감염은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지역사회 확산 가능성은 낮다고 전문가들이 전망했다.
4일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메르스, 바로 알고 극복하자' 주제의 민관합동세미나에 참석한 감염·진단검사 분야 전문가들은 대체로 메르스가 지역사회에 유행할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의 김홍빈 교수는 "메르스 감염자가 잠복기에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우려는 거의 없다"면서 "따라서 의료진처럼 진료 과정에서 다량의 호흡기 분비물에 노출되는 환경이 아니라면 모든 일반인들이 마스크를 쓸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공기 감염에 대해 과도하게 염려하는 분위기도 경계했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메르스는 기본적으로 '비말 감염'(환자의 침방울 등에 의한 감염)"이라면서 "공기 감염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이는 몇 가지 의료기관 시술에 한정되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밀접 접촉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 감염 사례가 나왔다고 해서 공기감염에 대해 심각하게 논의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정보부족에 대해 언급하면서 확진환자 전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
정부는 이날 세미나에서도 의료진(만)을 대상으로 상세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다.
세미나에 참석한 일선 의료진은 정부가 민간의료기관에서 메르스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과 관련, 검사를 희망하는 환자들과 실제 감염 위험이 있는 환자들이 뒤섞여 극심한 혼란이 초래할 상황을 심각하게 우려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대학병원의 가정의학과전문의는 "국가지정병원과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메르스 확진환자를 치료하는 병원과 검사가 가능한 병원 등을 별도로 운영해서 다른 환자들과 의심환자가 섞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또 일선 의료진이 메르스 의심환자에 대처하는 지침을 조속히 만들어달라는 요청도 이어졌다.
한 참석자는 확진환자가 발생했다는 잘못된 소문이 유포되면서 병원 환자가 급감한 현실을 호소했다.
수도권 한 병원에서 온 한 의사는 "어제 병원 개원 이래 환자가 가장 적었다"면서 "사실이 아니라고 웹사이트에 공지했지만 사회관계망 서비스로 헛소문이 무차별 확산돼 소용이 없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