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P Photo/Richard Shiro) |
미 공화 "힐러리 이메일 늦으면 국무부 예산 일부 보류"
(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미국 하원을 장악하고 있는 공화당이 2일(현지시간) 국무부 예산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벵가지 이메일' 조사를 연계하는 전략을 노골화하고 나섰다.
유력한 대선 주자인 클린턴 전 장관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개인 이메일 사용 논란을 계속 쟁점화하기 위해서다.
하원 공화당은 이날 국무부가 클린턴 전 장관 시절 발생한 벵가지 주재 미국 영사관 피습사건과 관련한 특위의 조사에 국무부가 협조할 때까지 국무부 운영예산의 15%를 보류하는 내용의 2016 회계연도 세출법안을 공개했다.
정보공개법에 따라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벵가지 관련 이메일을 하루빨리 특위로 넘기지 않으면 예산 일부를 주지 않겠다는 위협이다.
하원 공화당의 세출예산은 국무부 고유예산과 국방부 전쟁예산 등으로 총 478억 달러 규모다. 올 회계연도보다 14억 달러,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요구보다 61억 달러가 각각 적은 수준이다.
클린턴 전 장관의 이메일을 내놓지 않으면 운영예산의 15%를 자르겠다는 구상이 만약 실행에 옮겨진다면 재외 공관과 외교관 보호 등을 위해 편성되는 예산(56억 달러)의 조성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국무부 측은 15% 예산삭감이 이뤄지면 클린턴 전 장관 관련 자료를 공개하라는 국민과 의회의 요구를 이행하기 더 어려워지는 만큼 비생산적이라고 비판했다.
의회 벵가지 특위의 엘리야 E. 커밍스(민주·메릴랜드) 하원 의원도 성명을 내 "국무부는 이미 지난 몇 달 클린턴 전 장관의 벵가지 관련 이메일을 의회로 보냈다"며 공화당의 처사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무부는 지난달 22일 벵가지 사건과 관련한 296쪽, 896건의 이메일을 1차로 웹사이트에 올린 데 이어 이달 30일 2차분을 내놓은 뒤 두 달 간격으로 연내 모든 이메일 공개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법원은 논란이 된 클린턴 전 장관의 이메일 5만5천 쪽 분량을 이달 말부터 한 달마다 공개하라고 명령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