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무장헬기용 유도탄 국내기술로 개발한다(종합)
울산급 배치-Ⅲ 호위함·지휘소용 차량도 국내 개발 추진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방위사업청은 2일 우리 군이 전력화를 추진 중인 소형무장헬기(LAH)에 탑재할 공대지유도탄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은 이날 한민구 국방부 장관 주재로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LAH에 탑재될 공대지유도탄은 적의 전차를 정밀 타격하는 무기로, 육군이 장기간 운용해온 토우(TOW) 대전차미사일을 대체할 예정이다.
LAH 공대지유도탄은 다중모드 탐색기와 데이터 링크를 활용해 육안으로 탐지 불가능한 표적을 추적할 수 있어 대전차 정밀공격 능력과 헬기 조종사 생존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방사청은 기대했다.
약 1천600억 원이 투입되는 공대지유도탄 개발 사업은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진행되며 2022년까지 전투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2023년부터 양산·전력화된다.
방위사업추진위는 차세대 호위함인 '울산급 배치-Ⅲ'와 보병부대의 실시간 기동 지휘통제를 위한 '지휘소용 차량'도 국내 기술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해군의 노후한 호위함과 초계함을 대체할 울산급 배치-Ⅲ 개발은 내년부터 ADD가 전투체계를, 업체가 함정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개발 사업에 소요될 예산은 3조2천억 원이다.
울산급 배치-Ⅲ는 대함·대공·대잠 탐지와 추적 능력이 뛰어나 적의 해상 도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방사청은 보고 있다.
지휘소용 차량은 '네트워크 작전환경'에 맞게 보병부대 상황의 실시간 파악과 기동 지휘통제가 가능한 '움직이는 지휘소'로, 기존 천막형 지휘소를 대체할 예정이다. 지휘소용 차량이 전력화되면 보병부대 작전 속도가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휘소용 차량 개발에는 9천500억 원이 투입되며 올해부터 업체 주관으로 2018년까지 개발을 완료하고 2019년 양산·전력화에 들어간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