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 주행시험장이 뭐기에'…갈가리 찢긴 상주
한국타이어-상주시 손배소송 돌입…시민단체 찬반 대립
(상주=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 건립을 놓고 한국타이어와 경북 상주시가 소송을 벌이는 데 이어 상주지역 단체가 찬반으로 나뉘며 갈등이 커지고 있다.
상주시가톨릭농민회, 상주동학농민운동계승사업회, 전교조 상주시지회 등 상주지역 14개 시민·노동단체는 최근 성명서를 내고 "일부 자영업자는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 다시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중단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 단체들은 "심각한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타이어 제조공장과 주행시험장은 청정도시 상주와 안 어울린다"며 "2천500억원을 상주에 투자한다면 일시적으로 숙박업, 요식업 등이 활성화할 수 있지만 삶의 터전을 빼앗기는 공검지역 농민 600여명 생계는 누가 책임지느냐"고 주장했다.
또 "상주시 세수입은 연간 10억원에 그치고 고용인원은 고작 402명으로 인구증가도 기대할 수 없다"며 "시험장이 들어와 상주가 공해도시란 오명을 뒤집어쓴다면 이미지가 훼손되고 다른 우량기업의 후속투자가 어려워지는 만큼 한국타이어 재유치 활동을 중단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앞서 개인택시 상주지부, 풍물시장번영회 등 15개 단체는 지난달 20일 호소문에서 "자영업자들은 경기침체로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고 건설업 종사자들은 일거리를 찾아 외지로 나서고 있다"며 "시민이 먹고살려면 한국타이어가 상주로 꼭 와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렇게 상주시민이 한국타이어 유치를 놓고 의견이 나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경북도와 상주시는 2020년까지 상주시 공검면에 2천535억원을 들여 주행시험장과 시험용 타이어 제조시설이 있는 '테스트 엔지니어링센터'를 건립하기로 하고 한국타이어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그러나 상주시민은 건립을 놓고 찬반으로 나뉘었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집회를 열어 서로 의견을 밝혔다.
시는 이처럼 찬반으로 대립하자 "타협점을 찾겠다"며 지난해 10월 시장 주재로 주민 토론회를 열었다.
그럼에도 뾰족한 결론이 나지 않자 일단 시간을 두고 조정하기로 했다.
그러는 사이 사업이 지체된다고 판단한 한국타이어는 올해 4월 23일 서울중앙지법에 경북도와 상주시를 상대로 '투자유치 협약을 이행하지 않아 투자양해각서를 유지할 수 없고 사업 지체로 상품개발과 투자계획에 차질을 빚었다'며 21억7천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시도 이에 질세라 보도자료를 내고 "시는 사업 추진에 적극 노력했으나 한국타이어는 산업단지 지정승인 절차를 밟지 않은 채 시가 도와주지 않아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겠다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결국 한국타이어와 상주시 마찰이 소송으로 번지고 상주시민 사이 갈등도 확산하는 분위기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