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CE사무총장 "인권문제 다룰 北포함 역내 틀 필요"
자니에르 사무총장 간담회…"OSCE·동북아평화구상 공통분모 많아"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람베르토 자니에르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사무총장은 1일 "북한을 포함해 각국과 함께 인권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도구를 부여하는 틀을 만드는 것이 아시아 지역에서의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2015 OSCE-아시아 회의' 참석차 방한 중인 자니에르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서울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 인권 접근법과 관련해 이같이 제언했다.
그는 유럽의 이른바 '헬싱키 프로세스'가 동구권의 인권문제를 다뤄 나간 경험을 들며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이(인권) 문제를 다루는 데 대한 합의가 출발점이 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모든 국가도 이 문제를 다루고 어려운 논의를 할 권리가 있다는 점을 합의를 통해 모두가 수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인권 개선을 통해서 안보와 지역의 안정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며 "(OSCE에서) 활발히 토론되는 분야가 인권을 어느 정도로 강조해야 하느냐인데 내부적으로 균형관념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미·소와 유럽 35개국은 1975년 정치·군사, 경제·환경과 더불어 인권 분야를 포괄하는 '헬싱키 최종의정서'를 체결하고 이를 이행하면서 냉전 극복 및 통합의 기반을 닦았다.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정전감시 역할 등을 수행하며 역내 다자 안보협력 메커니즘으로 자리잡은 OSCE는 이를 모태로 탄생했다. 우리 정부는 이와 유사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추진하고 있다.
자니에르 사무총장은 "OSCE가 오늘날에도 유효한 이유는 이해를 공유할 측면을 모두가 각자 찾을 수 있기 때문"이라며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유럽과 러시아 관계를 개선하는 중요 도구가 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아울러 "OSCE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공통분모가 다수 존재한다"며 "공통의 안보 이슈를 위한 긍정적 의제를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렵다"며 "우리의 역사를 보더라도, 여러 정치적 이니셔티브가 제시되고서야 오랜 시간 후에 OSCE가 태동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