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소각장, 혐오시설서 주민지원시설로 '탈바꿈'
양천자원회수시설, 가동 20년 맞아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건설 당시 혐오시설로 인식돼 주민들의 반대가 컸던 서울의 양천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이 가동된 지 올해로 20년이 됐다.
서울에는 양천자원회수시설을 비롯해 노원(1997년 가동 시작)과 강남(2001년), 마포(2005년) 등 4곳에 자원회수시설이 있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가동 20주년을 맞은 자원회수시설은 혐오시설에서 주민지원시설로 탈바꿈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는 자원회수시설 영향권 300m 내 주민에게 난방비의 70%와 아파트 관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자원회수시설의 영향권에 있는 가구는 총 1만2천537가구로 이들에게 20년간 1천641억원이 지원됐다.
그 재원은 자원회수시설로 반입되는 폐기물 수수료의 10%를 적립하고, 시설을 공동이용하는 자치구의 특별출연금을 모아 마련한 주민지원기금이다.
자원회수시설은 수영장과 헬스장, 독서실 등 주민편익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시설 영향권 주민에게는 이용료가 20∼50% 할인된다.
시는 주민감시요원들이 생활폐기물의 성질과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총 23명의 주민감시요원들은 음식물 쓰레기나 재활용품이 많이 섞인 생활폐기물을 반입하는 수집운반업체에 경고나 반입정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2000년부터는 매년 주민건강영향 조사를 해 지역주민의 혈중 다이옥신과 중금속 농도도 검사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특별한 영향은 없다고 시는 전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원회수시설은 예전에는 혐오시설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시설 영향권 내 아파트 전세 가격이 주변의 다른 아파트와 별 차이가 없고 일부 지역 매매가는 오히려 조금 높을 정도로 시민 인식이 바뀌고 있다"고 평가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