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 벗어난 메르스 환자…11일간 행적 추적에 총력

편집부 / 2015-05-29 17:32:48
당국 신고 않고 자유롭게 일상생활…밀접 접촉자 수백명으로 불어나
보건당국, 필사의 밀접 접촉자 추적

통제 벗어난 메르스 환자…11일간 행적 추적에 총력

당국 신고 않고 자유롭게 일상생활…밀접 접촉자 수백명으로 불어나

보건당국, 필사의 밀접 접촉자 추적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보건당국의 통제에서 벗어나 국내에서 자유롭게 생활하고 해외 출장까지 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자 K(44)씨가 메르스 환자로 판명됨에 따라 감염세 확산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K씨는 메르스 환자와 밀접 접촉하고도 보건당국에 신고하지 않아 11일간이나 격리되지 않은 채 일상생활을 했다. 그렇기에 그사이 메르스가 얼마만큼 퍼졌을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보건당국은 K씨의 그간 이동 경로를 좇아 밀접 접촉자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K씨가 이동이나 대인접촉에서 자유롭게 생활한 만큼 행적을 촘촘하게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 K씨, 병원서 감염 환자 접촉 후 제한 없이 일상생활

K씨는 메르스 환자와 같은 공간에 머무른 '밀접 접촉자'였다. 그러나 접촉 사실을 보건당국에 신고하지 않아 자가 격리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다. 발열 등의 증상이 있어서 병원 응급실을 찾기도 했지만 이 때도 위험 상황을 보건당국에 알리지 않았다. 해당 병원의 의료진은 K씨가 중국 출장을 강행한 후에야 보건당국에 신고했다.

K씨는 세 번째 환자 C(76)씨의 아들이고 네 번째 환자인 C씨의 딸 D(46. 여)씨의 동생이다.

병문안을 위해 16일 ⓑ병원을 방문해 첫 환자 A씨와 아버지 C씨가 입원한 병실에 4시간가량 머물렀다.

이후 일상생활에 돌아간 뒤 사흘 후인 19일 발열 등 증상이 발생해 22일과 25일 한 병원의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다.

두 차례 응급실 방문할 때의 체온은 37.7도와 38.6도로, 모두 보건당국이 정한 의심환자 발열 기준(37.5도)보다 높다.

K씨는 25일 두 번째 찾은 병원의 의료진으로부터 중국출장 취소를 권유받았지만 따르지 않고 다음날인 26일 출국했다.

K씨는 감염자와 접촉한 16일 이후 중국에 출국한 26일까지 11일 동안 회사에 출근하는 등 일상적인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통제 못한 11일, K씨 행적을 찾아라…보건당국 '총력전'

이처럼 격리 없이 자유롭게 11일을 보낸 K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자 보건당국은 필사적으로 K씨의 이동 경로를 추적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K씨가 중국 병원에 격리된 만큼 보건당국은 K씨가 그사이 어느 정도의 활동성을 가지고 생활했는지 상세히 파악하지 못했다.

보건당국은 발병 의심자로서 K씨의 존재를 알게 되자 우선 K씨의 부인, K씨가 방문한 의료기관의 의료진 10명, 직장 동료 180명, 항공기에서 K씨 주변에 있던 탑승객 28명을 찾아 밀접접촉 여부,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벌였다.

하지만, K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만큼 조사 대상은 큰 폭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최소 잠복기인 2일을 제외한 9일간 K씨가 어떤 장소에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해 이동했으며 누구를 어디에서 만났는지 행적을 파악해 일일이 밀접접촉자를 찾아내야 한다. 적지 않은 시간을 들여 많은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K씨가 탑승했던 비행기의 승객들에 대한 추적 조사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당국은 우선 비행기 내 K씨의 좌석 앞 뒷줄의 승객에 대해서만 신원파악을 해 놨다. 하지만 K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만큼 밀폐된 공간이라는 비행기의 특성을 고려해 조사 대상 승객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 메르스 3차 감염자 나올까…확산세 커질까 '촉각'

보건당국이 이처럼 K씨의 행적 파악에 총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것은 K씨와 밀접 접촉한 사람들을 찾아 격리와 검사, 치료 등 적절한 조처를 해야 3차 감염자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3차 감염자는 최초 환자인 A씨에게 감염된 다른 환자를 통해 다시 메르스가 옮겨갔을 때 해당한다. 그만큼 접촉자 수가 증가해 질병의 확산세가 증폭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몸 상태가 좋지 않은 K씨가 제한적인 장소만 이동했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불특정다수가 모여 있는 다중시설을 방문했거나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했다면 접촉자들을 모두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보건당국의 통제를 벗어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감염세는 지금까지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무서운 속도로 퍼질 수 있다.

K씨의 정확한 행적을 확인하려면 직접 이야기를 듣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 역시 쉽지만은 않다.

원칙적으로는 감염병 환자가 발생하면 치료를 받고서 자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국제적인 관례라서 K씨는 당분간 중국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한국의 역학조사관을 중국에 보내 조사해야 하는데, 중국측의 태도에 따라 조사관 파견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확진 판정 이전 상황이긴 하지만 중국측은 이와 관련해 국제보건기구(WHO)를 통해 협조 요청이 있으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한 바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