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상황맞게 IS전략 조정해야"…지상군 투입도 열어두나
지상군 투입 '불가'속 공화당 압박 강화…'이라크 책임론' 거듭 제기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이 27일(현지시간)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의 전략 변화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거론했다.
젠 사키 백악관 공보국장은 이날 CNN 인터뷰에서 "미국은 현재 이라크 정부군 훈련과 장비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그러나 앞으로는 전략 역시 (상황변화에 맞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사키 국장은 "우리가 이라크 정부군에 지원하는 장비에 맞게 전략을 맞춰 나가고 또 시간이 흐르고 IS가 변화함에 따라 우리도 거기에 맞게 전략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키 국장의 이 발언은 'IS의 전술과 무기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는 일각의 분석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IS의 향상된 전략과 무기 시스템에 맞게 미국도 전략을 조정해야 한다는 취지의 언급으로 보인다.
애슈턴 카터 장관도 앞서 지난 24일 CNN 인터뷰에서 이라크의 전략적 요충지인 라마디가 IS에 함락된 것과 관련, "이라크 정부군의 전투의지가 없어서 생긴 일"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이라크 정부군에 대한 지원의 종류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 오면 (백악관에) 제안을 하겠다"고 밝혀 전략 변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카터 장관이나 사키 국장이 지상군 투입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일각에선 전략 변화가 논의되면 지상군 투입 문제도 자연스럽게 거론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라마디 함락 이후 미국 내에서는 공습 위주의 현행 IS 격퇴 작전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공화당은 지상군 투입 압박의 고삐를 더욱 죄는 상황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현재까지는 지상군 투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 주도의 국제동맹군 공습과 이라크군 및 시리아 온건반군을 활용한 지상작전 전개라는 현행 '투트랙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이라크 정부군에 싸울 의지가 없었다"는 카터 장관의 24일 발언을 둘러싸고 '책임 떠넘기기' 논란이 이는 가운데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에 이어 사키 국장도 이날 카터 장관의 발언에 힘을 싣고 나섰다.
그는 "카터 장관의 발언은 우리가 현지에서 봐 왔고, 또 들어왔던 것과 일치한다"면서 "이라크 정부군 스스로도 지휘 상의, 또 지상(작전)에서의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이는 이라크 정부군이 조정 또는 개선을 하려는 것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라크 정부군의 전투의지가 없다는 것은 우리가 과거에 봐 왔던 문제이자 우려였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