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원자력공동위 28~29일 서울 개최
원자력발전·기술개발 등 6개 분야 의제 논의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28∼29일 서울에서 중국국가원자능기구(CAEA)와 제12차 '한·중 원자력공동위원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양측은 이번 회의에서 ▲ 원자력발전 ▲ 원자력기술 연구개발 ▲ 핵연료 및 폐기물 관리 ▲ 원자력 안전 ▲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 응용 ▲ 핵안보 등 6개 분야에 걸쳐 총 43개 의제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한국에서는 이석준 미래부 1차관을 수석대표로 외교부·산업부·원자력안전위·원자력연구원 등 37명이 참석하며, 중국에서도 쉬다저 CAEA 주임(차관)을 중심으로 국가원자력발전기술공사, 중국원자력과학연구원 등 관련 전문가 30명이 자리한다.
한국은 연구로 기반 중성자 산란 연구개발 협력과 이온교환 수지 효과적 운영에 따른 고체폐기물 감소, 원전 주요 기기 경년열화 관리에 관한 협력, 의료용중입자 가속기 연구개발 협력 등 4개 신규 의제를 제안해 분야별 협력 확대를 모색한다.
양국은 1994년 원자력협력협정을 체결했고, 1999년 맺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약정'을 근거로 2000년부터 한·중 원자력공동위원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
11차례 회의가 열리면서 중국 칭화대 한·중 원자력수소공동연구센터 설립, 원자로 열수력 공동워크숍 개최, 미래원자력시스템 연구 등 협력 성과를 거뒀다.
미래부는 "적극적인 원전 확대정책을 펴는 중국과 원자력 안전 및 핵안보 분야 협력을 활성화해 역내 원자력 안전체제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의료용중입자가속기와 관련해 선진기술을 보유한 중국과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기술 협력을 시작하고 미래형원자로기술개발 분야에서도 공동연구 및 정보교환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중국은 현재 25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으며 원전 중장기 발전계획(2011∼2020년)에 따라 추가로 24기를 건설하고 있거나 44기를 건설 계획 중에 있는 등 원자력 발전 비중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