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주민이 실태조사·환경개선·순찰·골목지킴이 활동
`여성 성·가정범죄 안전마을 3년'…서울 25곳으로 확대
사각지대에 보조·반사거울, 태양광 램프 설치
마을 주민이 실태조사·환경개선·순찰·골목지킴이 활동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주민의 힘으로 성폭력이나 가정폭력을 예방하는 여성안전마을이 서울 전역으로 확대된다.
서울시는 전체 25개 자치구별로 여성 안전이 취약한 1곳씩 여성안전마을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성폭력·가정폭력·마을공동체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쳐 결정됐다.
여성안전마을은 2013년 처음 14곳에서 시작해 2014년 19곳, 올해 25곳으로 늘어났다.
여성안전마을은 주민의 힘으로 위험지역 모니터링, 환경 개선, 순찰 활동을 펴는 곳이다. 시는 마을별로 800만원씩 모두 2억원의 행·재정 지원을 한다.
슬럼화된 구도심이나 빈집이 많은 재개발지역 등이 대상이다. 해당 지역 주민과 시민사회단체, 마을 경찰, 구청 등이 네트워크를 구성해 여성 안전을 지킨다.
올해 금천구와 성동구, 종로구, 동대문구, 노원구에는 우리 동네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을 도입했다. 사각지대에 보조거울과 반사거울, 태양광 램프를 설치하고 특수형광염료를 바르거나 벽화조성 등을 했다.
양천구 등 15곳은 성폭력 없는 안전마을로, 강서구와 도봉구 등 4곳은 가정폭력 없는 안전마을로 조성된다.
성폭력 없는 안전마을에서는 주민이 마을살피미가 돼 동네 실태 조사, 환경개선과 순찰, 골목 지킴이 등 활동을 한다. 가정폭력 없는 안전마을 주민들에게는 가정폭력이 단순히 '집안일'이나 '남의 집일'이 아님을 알리고 소통과 지역네트워크를 통해 가정내 폭력을 예방하도록 한다.
싱글여성 밀집지역인 관악구는 여성 1인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여성마을 리더 아카데미 운영, 안심지도 제작 등을 추진한다. 게임방과 주점 등 유흥업소 밀집지역인 중랑구는 주민들을 성폭력 예방교육 강사로 양성한다.
강북구는 여성 1인 가구 40곳에 창문 보안장치를 설치·지원하고, 강남구는 저소득 한부모가정 850가구에 창문 알림 경보기를 지원한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성범죄 발생지역 3천719곳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 구도심의 성범죄 위험도가 특히 높았다.
어둡고 구불구불한 골목길과 소규모 다세대 다가구 주택은 범죄 감시가 어렵기 때문이다.
조현옥 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여성폭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 만큼 공공의 노력만이 아닌 전 사회적인 관심과 협조 속에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번 사업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