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트레스 극복 조절물질 첫 규명"
연세의대 연구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대부분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지만,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큰 편이다. 이런 스트레스 극복의 개인적 차이가 뇌 속 스트레스 회복물질의 활성화 차이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구·김철훈(약리학), 강지인(정신과학) 교수팀은 뇌 속 신호전달 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Receptor) 중 하나인 'mGluR5(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가 부족하면 스트레스 회복력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뇌과학 분야 권위지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에 이날 발표됐다.
연구팀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mGluR5수용체가 스트레스 회복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mGluR5를 제거한 실험용 쥐와 일반 쥐에 위계(Hierarchy) 스트레스, 전기자극 스트레스, 행동구속 스트레스 등을 동일하게 부여했다.
이 결과 mGluR5가 제거된 쥐들은 그렇지 않은 일반 쥐들보다 실험용 케이지 한쪽 구석에만 머무는 등 스트레스 때문에 지속적으로 행동이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실험용 쥐의 뇌 속 물질을 분석했더니 스트레스 상황을 잘 극복한 쥐들에서 mGluR5가 활성화돼 있었고, 이에 비례해 '델타포스비(ΔFosB)'라는 스트레스 회복 물질도 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mGluR5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스트레스 회복물질인 델타포스비의 발현을 촉진시키면 스트레스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동구 교수는 "우리 몸 안에 있는 스트레스 회복인자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연구결과"라며 "향후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등의 질환에 과학적인 대처법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