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루과이, 군사독재정권 인권범죄 조사 본격화

편집부 / 2015-05-21 22:41:51
'진실과 정의를 위한 실무그룹' 설치
△ (몬테비데오 AP=연합뉴스) 우루과이 수도 몬테비데오에서 20일(현지시간) 대규모 시위대가 제20회 침묵의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시위는 군사독재정권 시절(1973-1985년) 인권범죄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정의 실현을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우루과이, 군사독재정권 인권범죄 조사 본격화

'진실과 정의를 위한 실무그룹' 설치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우루과이 정부가 과거 국가에 의해 자행된 인권범죄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나선다.

21일(현지시간) 우루과이 언론에 따르면 정부는 군사독재정권(1973∼1985년)을 포함해 1968년부터 1985년 사이에 저질러진 인권범죄를 조사할 '진실과 정의를 위한 실무그룹'을 설치했다.

실무그룹에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와 정치인, 종교 지도자, 희생자 유가족들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타바레 바스케스 대통령은 전날 밤 이 같은 내용의 포고령을 발표하면서 "국가 기관에 의한 인권탄압과 국가테러를 조사해 진상을 밝히는 것이 주목적"이라고 밝혔다.

바스케스 대통령은 군사정권 시절에 실종된 민주인사들을 찾는 데도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권단체들은 군사정권 기간 4천700여 명이 체포돼 고문을 당했고, 이 가운데 200∼250명이 수감 중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진실과 정의를 위한 실무그룹' 설치 발표에 맞춰 수도 몬테비데오에서는 인권범죄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침묵의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는 "진실과 정의를 위해 인권범죄를 저지르고도 처벌받지 않는 관행은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몬테비데오에서 벌어지는 '침묵의 시위'는 1996년부터 해마다 계속되고 있다.

한편, 남미 각국은 비슷한 시기에 군사독재정권을 경험했다. 특히 1970년대에는 군사정권들이 좌파 인사 색출을 위해 '콘도르 작전'을 전개했다.

'콘도르 작전'은 1975년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 6개국 군사정권 정보기관장들의 합의로 추진됐다. 겉으로는 좌익 게릴라 척결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반체제 성향의 사회·노동운동가, 지식인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추적·납치·살해 행위를 저질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