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 이세제 기자]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16일 오색 연등이 화려하게 수 놓인 광화문 광장을 스님과 불자들이 가득 메운 채 한목소리로 불경 구절을 읊는 장관이 펼쳐졌다.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불교계의 대중 법회인 '세계 간화선 무차대회'가 이날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스님과 불자 30만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행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15일부터 3일간 개최하는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위한 기원대회'의 주요 프로그램이다.
세계 각국의 스님을 한 자리에 모아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기원하고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인 '간화선'을 널리 알린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행사로,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는 연등행렬과 연계해 한국불교 1천700년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세계 20개국에서 방한한 승려 200여명을 포함해 약 30만명(주최 측 추산)이 참석, 광화문 광장부터 시청에 이르는 대로를 가득 메웠다.
간화선 무차대회는 동국대학교에서 출발한 오색의 연등행렬이 동대문과 종로를 거쳐 행사장으로 속속 들어오면서 시작됐다.
광화문 앞에 마련된 무대에서 울려 퍼지는 법고소리가 본 대회의 시작을 알리자 조계종 종정인 진제 스님이 동자승들과 함께 무대에 올랐고, 조계사 범종각에서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5번의 타종이 화면으로 생중계됐다.
조계원 총무원장인 자승 스님은 이날 '공존과 상생, 합심으로 통일의 길을 열어 나가자'는 요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2015 불교 통일선언문'을 발표했다.
자승 스님은 "진정한 통일은 '땅의 통일'과 함께 '마음의 통일'을 이뤄내는 것"이라며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 '나만 옳다'는 자기중심적 마음을 내려놓고 상대방과 마음을 하나로 모을 때 비로소 공존, 상생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진제 스님의 법어에 앞서 모든 참석자가 5분간 선정에 드는 시간도 마련됐다.
'탁, 탁, 탁' 세 번의 죽비 소리가 울리자 행사장에 모인 세계 각국의 고승과 불자들은 침묵 속에서 마음을 하나로 모아 한반도 통일과 세계 평화를 기원했다.
이날 20여분간 법어를 한 진제 스님은 인류의 참된 평화와 한반도 통일을 이룰 수 있는 마음의 평화를 이루는 방법으로 화두 참선을 통해 참나를 깨닫는 '간화선' 수행법을 제시했다.
진제 스님은 "마음을 깨달아 참나를 찾아 세상의 주인이 되면 영원한 행복과 대지혜를 누릴 수 있다"며 "사람이 곧 부처임을 깨달아 서로 존중하고 상생하는 삶을 사는 일이 우리가 이루어야 할 서원"이라고 강조했다.
진제 스님의 법어에 이어 해외 종교지도자 4명이 앞서 열린 '세계종교인회의'에서 채택된 '세계 종교지도자 평화기원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이 시대 마지막 분단의 아픔을 품고 있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기원하고 지구촌의 모든 갈등과 대립을 종식해 인류의 행복과 세계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이날 본 행사에 앞서 진제 스님과 자승 스님은 해외 종교지도자들과 함께 세월호 분향소를 방문해 분향하고 유가족을 위로했다.
본 행사에 앞서 열린 식전 행사에서는 러시아의 텔로 툴쿠 린포체 스님, 방글라데시의 우빤야조타 스님, 스리랑카의 니얀고다 스님 등 세 명의 스님이 무대에 올라 수행법과 한국인에게 전하고픈 메시지를 전하는 달마토크 시간이 마련됐으며, 진혼제와 예불도 식전행사로 진행됐다.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위한 기원대회'를 위해 방한한 해외 스님 200여명은 이날 오전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참배했다.
행사 마지막 날인 17일에는 조계사에서 한국전쟁 희생자를 위한 수륙무차대재가 봉행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