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권도 강경대응론 확산…초계기·구축함 보낼듯
남중국해에 발 담그는 미국·일본…영유권 분쟁 격화(종합)
필리핀·베트남, 군사력 확충 박차…미국에 '구애'
미국 정치권도 강경대응론 확산…초계기·구축함 보낼듯
(도쿄·하노이=연합뉴스) 김문성 이세원 특파원 =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둘러싼 정세가 심상치않다. 중국과 주변국의 대립 구조가 미국과 일본의 직·간접적인 개입으로 확대 양상을 띠고 있다.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정면으로 맞선 필리핀과 베트남은 미국, 일본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으로서는 군사·경제 패권을 다투는 중국을 견제하는 효과를 노리는 셈이다.
일본 해상보안청과 베트남 해안경비대는 14일 오후 베트남 중부 다낭지역 인근 해상에서 합동 훈련을 했다.
훈련 내용은 주로 해상 수색·구조 활동이지만 베트남이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겪는 파라셀 군도(베트남명 황사, 중국명 시사<西沙>군도)를 멀리 마주한 곳에서 실시하며 공조 체제를 다졌다.
이와 별도로 소말리아 아덴만에 해적 대응을 위해 파견됐던 일본 해상자위대 P3C 초계기 2대가 일본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13∼14일 베트남 다낭에 기착했다.
이에 앞서 일본 해상보안청은 지난 6일 필리핀 해안경비대와 함께 필리핀 해안에서 해적 퇴치 훈련을 했다. 이어 12일 일본 해상자위대와 필리핀 해군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도서인 스카보러 섬(중국명 황옌다오<黃巖島>)에서 270㎞가량 떨어진 필리핀 해역에서 연합 훈련을 했다.
4월 말에는 미국과 필리핀의 연례 합동 군사훈련이 필리핀 육해공 군사기지를 중심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만2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실시됐다.
베트남과 필리핀은 군비 증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미국이 작년 10월 자국에 40년간 적용한 살상무기 수출금지 조치를 일부 해제하자 미국산 무기 도입에 적극적이다.
지난달 22일 보잉, BAE시스템스, 록히드 마틴, 하니웰인터내셔널 등 10여 개 미국 대형 군수업체가 베트남 정부를 상대로 헬리콥터, 선박, 통신장비 등을 판촉하는 행사가 열렸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지난 2월 미국의 소리방송(VOA)은 미국과 일본이 베트남의 해양전력 증강을 도우려고 고속 초계함 5척과 중고 초계함 1척을 각각 지원했다고 전했다. 필리핀 또한 미국에 최신 군사장비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미국은 이번 주말 존 케리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을 앞둔 가운데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에서 건설 중인 인공섬의 12해리 이내에 군용기와 군함을 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지난 12일 월스트리트 저널이 보도했다.
이와 관련 AFP통신은 P-3, P-8초계기와 구축함을 포함한 함대를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13일 전했다.
이 관계자는 "자유롭게 항해할 권리를 지지한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주고 동맹국에 확신을 심어주려는 조치"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중국에 더 강경히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밥 코커(공화·테네시) 상원 외교위원장은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어떤 활동을 하더라도 대가를 전혀 치르지 않는 반면 우리가 대가를 치르고 있다"며 "동맹국들은 우리 입장과 헌신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끊임없이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도 암초에 모래를 어떻게 쌓든 "영유권이만들어지는게 아니다"라며 영유권 분쟁을 자제하라고 촉구하면서 "미국은 우선적으로는 외교적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도발로 자기 위상을 해치고 있다며 미국이 남중국해에서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국의 전략이 우리를 배제시키는 것이라면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군과 중국군 함정은 지난 11일 스프래틀리 해역에서 한 때 근접해 상대방을 감시하면서 신경전을 빚기도 했다.
홍콩 봉황망(鳳凰網)에 따르면 미 해군 포트워스함(LCS)이 11일 스프래틀리 해역 쪽으로 접근하다 중국 해군 호위함 옌청(鹽城)함에 근접했다.
중국은 미국을 포함한 각국의 대응 움직임에 반발하고 나섰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스스로의 영토 주권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면서 영유권 강화조치를 시사하면서 "우리는 관련 국에 신중한 언행과 위험하고 도발적인 행위 중단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