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 대통령 외교안보장관회의 참석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외교안보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15.5.12 srbaek@yna.co.kr |
< SNS여론> 박대통령 안보장관회의 주재에 "단호하게 대응해야"
"도발은 응징하되 전쟁으로 이어져선 안 돼"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북한이 도발할 경우에는 단호하게 응징하라"고 지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온라인에서는 말로만 그치지 말고 행동으로 옮겨달라는 목소리가 분출했다.
네이버 아이디 'dlrl****'은 "과거처럼 한 가족이 피눈물 흘리고 훈장 받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제발 부탁이니까 그렇게 해줘라 꼭"이라며 "옳은 일을 하면 국민이 세금을 내도 아깝지만, 화는 안 낼 것 같다"고 적었다.
'nk60****'는 "매번 도발 당하고 우리만 피해보고 왜 그러냐"며 "말싸움하는 것도 아니고 말로만 '유감이니 응징이니' 하지 말고 행동이나 구체적으로 결판도 내봐라"라고 주장했다.
도발은 강력하게 응징하되 전쟁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경계하는 누리꾼도 있었다.
'whic****'는 한국의 자존심을 최소한 내비치고 국토와 국민의 안전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최선책은 국민이 죽지 않도록 전쟁을 하지 않고 이익을 얻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이 미국에 있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네이버 이용자 'vlfr****'는 "전작권이 미국에 있는데 북한이 도발하면 대칭대응밖에 더 하느냐"며 "북한이 한 발 쏘면 한 발 쏘고, 두 발 쏘면 두 발 쏘고 그다음은 미국에 전화해서 어떻게 할지 물어봐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자조했다.
다음 닉네임 '바다의 노을'은 "도발에 대한 응징은 당연하다만, 미국으로서는 확전이 미국에 이롭지 않기 때문에 응징이 아니라 단순히 대응 정도만을 요구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시험과 서해 '조준타격' 도발 위협 등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박 대통령이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한 것은 작년 5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후 1년 만이며, 취임 이후로는 여섯 번째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