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논의요구·대북제재위에 문제 제기 관측
![]() |
△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 |
당국자 "北 SLBM, 가장 효과적 외교대응 찾고있다"(종합)
대응방침 가닥 잡은듯…"케리 방한시 논의 기대"
안보리 논의요구·대북제재위에 문제 제기 관측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정부는 12일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수중 시험발사 성공 발표와 관련해 유엔 안보리 등을 통한 문제제기를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이날 연합뉴스에 "관련국과 평가를 공유하면서 가장 효과적인 외교적 대응 방안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외교적 대응 방침을 정하고, 어떤 방안이 가장 효과적일지 각론에서 정부가 고심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등 우방과의 협의를 기초로 국제사회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검토해 나갈 것"이라면서 국제사회 대응방안에 대해 "유엔(UN)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날 외교안보 관계장관 회의에서 "국제사회와의 공조 노력도 더욱 강화해 나가라"라고 주문했다.
우리 정부의 국제사회 대응 방안으로는 유엔 안보리에서의 논의를 요구하거나,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1718위원회)에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 등이 가능성으로 거론된다.
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는 17~18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방한시 "북한의 SLBM 시험발사 등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변인은 18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케리 장관의 회담이 있을 예정이라면서 "굳건한 한·미 동맹을 재확인하고, 북한 도발에 대한 강력한 공동 대응 의지를 확고히 하는 한편, 글로벌 파트너로서 지역 및 범세계적 현안들에 대한 소통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 장관은 이번 회담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준비를 포함한 양국간 현안, 북핵 및 북한 문제, 동북아 정세, 범세계적 차원의 협력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 교환을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변인은 "케리 장관은 18일 오전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한일문제가 다뤄질 것이냐는 질문에는 "양 장관 간에는 동북아지역의 평화 안정에 기여하는 여러 사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언급으로 즉답을 피했다.
노 대변인은 파키스탄에서 외교사절이 타고 가던 헬기가 추락, 파키스탄 주재 노르웨이 대사와 필리핀 대사, 말레이시아 및 인도네시아 대사 부인 등이 숨진 것으로 전해진 것과 관련해 "사망하신 분들과 가족분들에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면서 "부상한 분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