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군(軍) 공항 이전사업 설명회 (수원=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8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수원 공군비행장 이전 타당성 평가를 앞두고 경기지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군 공항 이전사업의 절차와 예비 이전 후보지 선정절차 수립을 위한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2015.5.8 drops@yna.co.kr |
수원 군공항 이전사업에 경기남부 지자체들 '난색'
(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 = 수원 군공항 이전문제에 대해 예비이전후보지 대상이 될 경기남부지역 10개 지자체가 주민피해 등을 이유로 일제히 난색을 표했다.
수원 군 공항 이전사업을 추진 중인 국방부는 8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사업설명회를 열고 예비이전후보지 선정절차를 상세히 설명했다.
설명회는 예비이전후보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광주, 안산, 안성, 양평, 여주, 용인, 이천, 평택, 하남, 화성 등 10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관련 전문가들의 사업설명과 토론을 경청한 지자체 관계자들은 질의응답 시간이 되자 사업에 관한 궁금증을 쏟아 냈다.
여주시청 관계자는 "왜 대상지역이 10개 시군인지 의문이 든다. 갑자기 설명회를 한다고 하니 이미 어느 정도 사업이 진척된 후 절차상 설명회를 연 것 아니냐는 생각마저 든다"고 질의했다.
이천시청 측 역시 "중요한 국방사업인데 왜 경기남부권만을 포함됐는지 모르겠다. 강원 충청, 충북 등 입지조건이 좋은 곳도 많을텐데 선정이유가 궁금하다"고 물었다.
"우리 지역에 비행장 이전은 안된다"며 아예 선을 긋기도 했다.
화성시청 관계자는 "우리 지역 주민은 그동안 수원과 오산 비행장으로 피해를 받아왔다. 우리지역이 예비이전후보지로 거론되는 순간 지역공동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든다"고 강조했다.
양평군청 관계자도 "대형 사격장만 2개다. 주민들이 군부대라고 하면 질색을 한다"며 주민반발 가능성을 걱정했다.
참가자들은 후보지 결정과정에서 주민의견 반영 필요성, '기부 대 양여' 외 다른 사업방식 도입 필요성 등 사업절차상 예상되는 문제점도 지적했다. '기부 대 양여'는 이전 대상 공항이 있는 지자체가 새 공항을 지어주고 기존 공항부지를 넘겨받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국방부 측은 "현재 절차가 진행되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결정된 바가 없고 앞으로 지자체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반영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류한현 국방부 군공항이전사업단 사업정책 과장은 지자체 선정기준에 대해 "군공항 이전은 권역별로 진행되기 때문에 경기도 내에서 결정되며 군 작전상 군공항 생존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을 때 경기남부쪽으로 갈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후보지로 선정되기까지 여러 위원회를 통해 갈등관리 협의를 거치고 사업적으로 가능한지도 검토한다. 결정과정 마지막엔 주민의사를 반영하게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방부는 수원시가 제출한 수원 공군비행장 이전건의서에 대한 평가 작업을 오는 13∼14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적정' 결정이 내려지면 국방부는 관련부처와 협의를 거쳐 이전후보지를 선정하게 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