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체계 확립, 공공 감사 선진화, 새마을운동 도입 등
![]() |
△ 코이카 주최 '제2회 석사학위과정 컨퍼런스 및 연수사업 현업적용 사례공모 시상식'이 7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The-K호텔에서 열렸다. 우수 사례 수상자, 코이카, 대학 등 관계자가 수상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개도국 공무원들 "한국서 배운 개발경험 잘 써먹었죠"
코이카 우수 사례 시상식서 톡톡 튀는 아이디어 백출
간호 체계 확립, 공공 감사 선진화, 새마을운동 도입 등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한국에서 배운 걸 적용해 던 에티오피아의 간호 기술 체계를 확립했습니다."
7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The-K호텔에서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주최로 열린 '제2회 코이카 석사학위과정 콘퍼런스 및 연수사업 현업 적용 사례 공모 시상식'에서 1등을 차지한 하푸투 베르헤 게르브 에티오피아 국립 메켈레대 간호학장의 말이다.
그는 상을 받은 뒤 "국가 표준 간호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간호 기술 표준 매뉴얼을 만들었다"면서 "15개 국립대를 중심으로 보급하고 있어서 많은 환자가 선진화된 의료 서비스를 받게 된 것이 큰 기쁨"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코이카는 국내 19개 대학 석사학위 과정(SP; Scholarship Program)에 참가했다가 귀국한 개발도상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개발 경험 등 석사학위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을 자국 발전에 적용한 사례를 지난해 10월 공모했다.
38개국에서 응모한 245편 가운데 우수 사례 10편을 뽑았고 이 가운데 상위권 수상자 5명을 대상으로 이날 시상식을 연 것이다.
2등을 차지한 파툼 웨슬레티 튀니지 재무부 감독은 "한국 감사연구원 사례를 적용, 정부회계감사관협회를 만들어 공공기관의 감사 역량을 강화했다"면서 "공공감사인의 윤리와 의무에 관한 문서를 보급하고 감사 초기부터 최종까지의 관례를 규정하는 등 공공 감사를 획기적으로 선진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의 국민권익위원회처럼 튀니지의 3개 감사원의 통합과 독립을 추진하는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감사 분야의 부정부패가 대폭 줄어들어 공적 업무에 대한 감시 기능이 충실해졌다"며 "감사원의 내부 감사와 시민사회와의 소통 등 지속적인 개혁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소개해 박수를 받았다.
한국의 발전 사례 가운데 개발도상국이 가장 많이 도입한 새마을운동의 다양한 성과도 나왔다.
파키스탄의 아사드 울라 내무부 담당관은 지역사회의 참여와 정부의 지원으로 여성의 교육 기회를 높인 사례를 제출해 3등에 뽑혔다.
아사드 담당관은 "발루치스탄 지역에 여자중학교를 설립하고 여성 교사의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중고등학교 중퇴율을 80%에서 60%로 낮추었다"고 설명했다.
4등상을 받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방정부 공무원 무사 씨는 "낙후한 현 상황을 진심으로 변화시키겠다는 열정과 성공에 대한 확신이 내가 배운 새마을 정신의 핵심"이라며 "자카르타 농촌 지역에 지역사회 비즈니스 공동체를 만들어 폐기물 활용을 통한 소득 증대로 마을 부흥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이카 관계자는 "코이카 초청으로 연수를 받은 인재들이 귀국 후 각자의 분야에서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제도를 개선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올렸다"며 "이들 우수 사례는 다른 나라에서 온 연수생들에게도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상식에는 현재 SP 과정을 밟는 개도국 공무원 등 400여 명이 함께해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이들은 시상식 후 열린 지식 공유 콘퍼런스에서 공부를 마친 뒤 자국으로 돌아가 어떻게 본인 업무에 적용할 것인지에 관해 발표와 토론을 벌였다.
코이카는 앞으로 문화·학술 정례 콘퍼런스를 열어 '코이카-대학-SP 공무원'을 잇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파트너십을 확대하기로 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