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교육 정상화' 기여 대학 60곳에 500억원 지원
대학당 최고 30억원…수능·대학별 고사 완화 등 평가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올해 대입전형 간소화 등으로 고교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하는 대학은 최고 30억원까지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시행계획'을 6일 발표했다.
이 사업은 고교교육에 영향이 큰 대입전형의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으로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올해는 60개교 정도에 총 500억원을 지원한다. 학교당 지원액은 2억원에서 30억원이다.
지난해 65개교에 학교당 최대 50억원까지, 총 600억원을 지원했던 것과 비교하면 사업 예산은 100억원 줄었다.
올해 평가항목은 ▲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수능, 대학별고사 등 전형 요소의 적정화 ▲ 교육기회 균등의 취지에 맞는 고른 기회의 입학 전형 ▲ 고교교육 활동 지원 사업계획 등이다.
특히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수능과 대학별고사의 영향력을 완화하는 정도를 집중적으로 평가한다.
교육부는 작년 사업의 결과로 대입에서 학생부 전형이 확대되고 대학별 고사가 감소한 것으로 평가했다.
2015학년도 대입에서 학생부 중심 전형은 55.0%이었지만 2016학년도에는 57.4%로 올라갔고 논술을 평가하는 모집인원은 2015학년도 1만7천417명에서 2016학년도 1만5천349명으로 줄었다.
교육부는 고등학교, 교육청, 대학, 민간단체 관계자 등이 골고루 참가하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올해는 1단계에서 정량지표, 정성지표를 보는 서면평가 방식으로 1.2배수 정도를 선정하고 2단계에서 면접을 포함한 심층평가로 최종 지원 대학을 뽑는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4년제 대학은 이달 22일까지 2015학년도 대입 전형 결과, 향후 5년간 장기 전형운영 계획 등을 포함한 사업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같은 대학의 본교와 분교를 별도로 신청해야 한다.
2015학년도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과 대학구조개혁평가 미참여 대학 등은 사업에 지원할 수 없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