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온타리오주 장관 "원자력은 친환경 에너지"

편집부 / 2015-05-03 06:07:01
"한국 원자력 기술, 캐나다와 협력하면 한단계 더 도약"
"원전기술 '캔두' 가장 안전…핵폐기물도 획기적 저감"
△ 레자 모리디 캐나다 온타리오주 연구혁신부 장관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레자 모리디 캐나다 온타리오주 연구혁신부 장관이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양국 간 원자력발전 기술 교류 등과 관련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5.5.3 utzza@yna.co.kr

캐나다 온타리오주 장관 "원자력은 친환경 에너지"

"한국 원자력 기술, 캐나다와 협력하면 한단계 더 도약"

"원전기술 '캔두' 가장 안전…핵폐기물도 획기적 저감"



(서울=연합뉴스) 이봉준 이 웅 기자 = "원자력 에너지는 매우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입니다. 원전 사고 때문에 안전하지 못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수십년에 이르는 원전 발전 역사에 비해 사고는 많지 않았습니다"

원자력 등 에너지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해 방한한 레자 모리디 캐나다 온타리오주(州) 연구혁신부 장관은 지난 1일 서울 강남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심각한 원전 사고 사례로 거론되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는 자연재해가 원인이었지 원자로 문제는 아니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원자력은 법으로 엄격하게 규제되고 관리되는 분야"라며 "한국이나 캐나다, 프랑스 등지에선 원전 사고가 전혀 없었고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미국은 스리마일 원전 사고가 있었지만 부상자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모리디 장관은 "원자력은 석탄을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옛 기술과 전혀 다른 신기술"라며 "국민이나 일반 대중은 신기술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언론 등에서 원자력의 안전성을 적극 알려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의 원자력 분야 기술 수준에 대해 그는 "한국은 24기의 원자로를 갖고 있고,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전을 수출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한 것은 사실"이라며 "한국이 온타리오주와 협력한다면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캐나다의 원자력 발전 기술인 '캔두(CANDU)'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한국과 캐나다 간 협력 확대를 주문했다.

모리디 장관은 "천연 우라늄을 사용하는 캐나다 원전은 가장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라며 "캔두는 발전 비용이 다른 원전의 10%밖에 들지 않고 재처리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원자로가 녹아내리는 '멜트 다운'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캔두의 독특한 장점은 폐연료를 다시 태울 수 있다는 점이며 이는 다른 원전에서는 가능하지 않다"며 "한국에는 약 20개의 경수로가 있고 4기의 캔두가 설치돼 있는데 경수로에서 나오는 폐연료를 캔두 원자로가 다시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핵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미 원자력협정 타결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한국과 미국 간 협정으로 한국에는 훌륭한 기회가 마련됐다. 또 한국과 캐나다의 원자력 협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협정으로 원전 폐연료를 한국에서 처리할 수 있게 돼 핵폐기물 처리의 골칫거리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좋은 여건이 마련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올해 1월 한-캐나다 FTA 발효로 각 부분의 협력과 교류가 한층 늘어날 것"이라며 "특히 에너지 부분이 양국 협력의 주요 분야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모리디 장관은 "경쟁은 어디나 존재하고 원자력 산업도 예외는 아니지만 열쇠는 협력이라고 본다"며 "원자력은 한 기업이 할 수 없는 프로젝트가 많아 협력이 필요하다. 한국과 캐나다가 손을 잡고 해외로 진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