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 프레드 업튼 위원장 (AP=연합뉴스 자료사진) |
미 연방의회, 합성수지 미세구슬 사용금지 입법 추진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미국 연방 의회에서 세안제·치약·비누·샴푸 등 개인 미용품에 합성수지 미세구슬(synthetic microbeads)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의 정치전문 주간지 '내셔널 저널' 등에 따르면 미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는 2018년 1월부터 합성수지 미세구슬이 첨가된 개인 미용품 판매를 금지하기 위한 입법안을 마련하고 이날 공청회를 개최했다.
에너지·상무위원회 프레드 업튼 위원장(공화·미시간)과 프랭크 팰론 의원(민주·뉴저지)이 초당적으로 공동 발의한 이 법안은 세계 최대 담수호이자 인근지역 4천만 주민의 식수원이 되는 오대호의 생태 시스템 보호를 위한 것이다.
업튼 위원장은 "미세구슬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이 물질이 오대호에 미치는 악영향은 실로 엄청나다"고 말했다.
그는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한 미세구슬은 입자가 너무 작아서 하수 정화 시스템에도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흘러나간다"며 "이를 물고기가 먹고 먹이사슬 경로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과학자들은 오대호 가운데 가장 작은 온타리오호의 경우 1㎢당 110만 개의 미세구슬이 섞여있는 것으로 추산하면서 "오대호 생태 시스템에 위협적 요소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환경연구기관 ERG는 오대호의 미세구슬을 모두 제거하려면 연간 4억8천600만 달러(약 5천20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이 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리노이 주가 지난해 6월 미세구슬 사용 금지 법안을 50개 주 가운데 처음으로 통과시킨 후 뉴욕과 뉴저지 주 등이 유사 법안을 마련했으나, 각 지자체 특히 오대호 인근 주의 환경 부처에서는 "연방 차원에서 법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며 이번 법안 추진을 크게 환영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관련 업체들은 "오대호에서 발견되는 합성수지 미세구슬이 모두 개인 미용품에서 왔다는 증거는 없다"며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미국 개인미용제품협회(PCPC)는 "치약과 여드름 세안제 등 일부 제품에는 법 적용을 1∼2년을 미뤄달라"면서 "미세구슬 없이 같은 효과를 내는 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법안 적용 기준을 식품의약국(FDA)에 맡기지 말고, 합성수지 미세구슬의 정의를 법조문으로 명시해달라"고 요구했다.
'존슨 앤드 존슨', '프록터 앤드 갬블'(P&G) 등 대형 기업은 앞서 자사 제품에 미세구슬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