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환경장관 "황사 등 대기질 향상 공동 협력"
제17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폐막
(상하이=연합뉴스) 한승호 특파원 = 한국·중국·일본 등 3국이 황사를 비롯한 대기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협력을 전개하기로 했다. .
3국 환경장관은 29∼30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제17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에 합의하고 향후 5년간(2015∼2020년) 중점적으로 추진할 환경협력 실천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천방안은 대기오염 관리 기술협력, 생물다양성 보호, 기후변화 대응 정보교환 등 동북아시아에서 주요 이슈가 된 환경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에서 열린 제16차 회의에서 정한 9대 우선 협력분야별로 실천사업이 선정됐다.
황사에 대한 과학적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3국 전문가가 참여하는 황사공동연구단이 5년간 체계적으로 공동연구를 수행하도록 하는 계획도 확정했다.
이에는 황사(미세먼지 포함) 관측방법 비교를 통해 관측과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황폐화·사막화가 진행 중인 토지의 복원방법을 찾는 등 실질적인 연구과제가 들어 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의 윤성규 환경부 장관, 천지닝(陳吉寧) 중국 환경보호부 부장(장관), 모치즈키 요시오(望月義夫) 일본 환경성 대신(장관)이 참석했다.
이들 환경장관은 회의를 마치고 가진 언론설명회에서 황사와 미세먼지 문제가 3국 공통의 중요한 과제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고 실천 계획에 합의한 것을 회의의 주요 성과라고 설명했다.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커지고 있는 중국의 천 부장은 "발전도상국이면서도 최근 수년간 중국만큼 환경 개선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한 나라가 없을 것"이라며 "어려움은 크지만 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고 있고 능력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녹색 성장'을 위해 해마다 환경투자에 1천억 위안(17조원)가량 늘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은 중국, 일본과의 양자회의에서 거둔 성과도 설명했다.
중국과는 정부가 관장하는 황사발원지 황사관측소 측정자료를 공유하기로 하고,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중국 제철소 3∼5곳에 한국 대기오염 방지기술을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일본과는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 건강 피해 방지를 위해 실시간 자료 공유와 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윤 장관은 "대기 오염 문제의 심각성에 3국이 공감하고 있음을 재확인한 자리였다"면서 "실질적인 협력을 통해 국민이 느끼는 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일 환경장관회의는 1999년 한국이 역내 환경문제 공동 대응을 목적으로 제안해 창설된 동북아지역 환경분야 최고위급 협의체다. 3국이 번갈아가며 해마다 회의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다음 회의는 일본에서 열린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