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 핼핀 "아베, 성노예 인정 거듭 부인"…미 전문가들도 비판 목소리
아베에 '과거사 문제 제대로 해결 없이는 미래 없다' 분명한 메시지 해석
미 민주 의원들 아베 비판…"위안부 책임회피 부끄럽고 충격적"(종합)
혼다·추 이어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 엘리엇 엥겔까지 나서 아베 비판
데니스 핼핀 "아베, 성노예 인정 거듭 부인"…미 전문가들도 비판 목소리
아베에 '과거사 문제 제대로 해결 없이는 미래 없다' 분명한 메시지 해석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 민주당 의원들이 29일(현지시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해 사과를 하지 않은 것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2007년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마이크 혼다(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물론이고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인 엘리엇 엥겔(뉴욕) 의원까지 나서 '핵심'이 빠진 아베 총리의 연설을 비판하는 등 하원의 기류가 심상치 않다. 아베 총리 연설에 앞서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을 비롯한 여야 의원 25명은 아베 총리의 역사 직시 및 과거사 사과를 촉구하는 연판장에 서명한 바 있다.
엥겔 의원은 이날 아베 총리 연설 직후 낸 성명에서 "아베 총리가 이전 총리들의 입장을 승계한다고 하면서도 위안부 문제, 특히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본회의장 갤러리에서 연설을 지켜보는데도 직접적으로 사과를 하지 않았다"면서 "아베 총리가 제국주의 일본군대가 저지른 전쟁범죄에 대해 좀 더 직접적으로 언급했어야 한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앞으로 역사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고 촉구하면서 "일본은 (위안부 등)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이웃 국가들과 생산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계인 혼다 의원은 성명에서 "아베 총리가 오늘 연설에서 제2차 세계대전 중 제국주의 일본 군대가 조직적으로 저지른 만행, 이른바 '위안부' 범죄에 대해 사과하지 않음으로써 책임을 계속 회피했는데 이는 충격적인 동시에 아주 부끄러운 것"이라고 일갈했다.
2007년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혼다 의원은 "아베 총리가 연설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받은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이전 총리들의 입장(고노담화·무라야마 담화)을 계승한다'고 하면서도 위안부나 성노예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베 총리의 역사 직시 거부는 아·태지역의 20만 명이 넘는 (위안부 피해자) 소녀와 여성들에게 모욕"이라면서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아베 총리가 연설에서 '우리 시대에는 여성의 인권이 침해되지 않는 시대가 돼야 한다'고 언급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완전히 나도 동의한다"면서 "그러나 과거의 죄를 인정하지 않으면 (잘못된)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말했다.
혼다 의원은 아울러 "아베 총리가 어제 (미·일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위안부를 생각하면 깊은 고통을 느낀다'고 말했는데 그의 고통은 정의가 부정돼 온 지난 70년간의 고통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고 일갈했다.
그는 "70년 이상 솔직하고 겸손한 사과를 기다려 온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오늘 나의 초청으로 의회에서 아베 총리의 연설을 지켜봤다"면서 "이 할머니와 다른 할머니들을 생각하면 내 가슴이 아프다. 이 할머니는 아베 총리로부터 사과를 받지 못한 채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혼다 의원은 별도 기자회견에서도 "아베 총리가 이 기회, 이 특권의 기회를 잘 살려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기를 희망했는데 그는 이 기회를 잡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아베 총리가 연설 끝에 '희망의 동맹'을 언급한 점을 거론하면서 "국가 지도자(아베)가 과거를 직시하지 않는 상황에서 우리가 '성공적인 미래'에 대한 희망을 얼마나 품을 수 있을지 회의가 든다"고 덧붙였다.
혼다 의원은 아베 총리의 연설 도중 다른 의원들이 기립 박수를 칠 때 아예 일어나지 않거나 일어섰을 때도 일부 대목을 제외하곤 거의 박수를 치지 않았다.
아·태계 의원총회 의장인 중국계 주디 추(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도 별도 성명을 내고 아베 총리의 책임 회피를 규탄했다.
추 의원은 아베 총리가 '우리의 행위가 아시아 국가의 국민에게 고통을 주었다'고 말한 대목에 대해서는 나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그러나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려면 정직성과 더불어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베 총리가 '일본의 눈은 미래로 향한다'고 말했는데 책임이나 반성 없이는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전문가들도 아베 총리의 연설에 쓴소리를 했다.
데니스 핼핀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연구원은 이날 연합뉴스에 보낸 논평에서 "아베 총리는 역사적 진실을 회피한 것은 물론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과거 '성노예'로 표현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공식으로 사과함으로써 그들에게 '존엄'을 되돌려주는 것도 거부했다"고 성토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앞서 2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워싱턴DC 링컨 기념관을 찾은 것을 거론, "에이브러험 링컨 대통령은 정직함으로 역사에 길이 남아 있지만 아베 총리는 역사적 진실과, 전쟁범죄에 대해 이미 내려진 역사적 심판을 완강하게 거부한 그런 인물로만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미 정치권과 전문가들의 이 같은 비판과 지적은 아베 총리가 이번 방미를 통해 안보와 경제 측면에서는 일부 성과를 거뒀을지 모르지만 '역사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고는 미래도, 희망도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아베 총리에게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