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조기등교 학생지원→방과후로 변경 추진
'9시 등교 정책 고수' 도교육청 반대로 진척 없자 방향선회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조기등교 학생 지원을 두고 지속하고 있는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사이의 미묘한 갈등이 해결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가 지원대상으로 '9시 이전 등교학생'에서 '방과후 학생'으로 변경하는 등 한걸음 물러섰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28일 "'꿈의 교실' 운영방법을 변경해 교육청의 방과후 프로그램과 접목하는 방안을 마련, 경기도교육청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꿈의교실은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지난해 12월 18일 경기사학포럼에서 교육과 행정의 연정을 강조하면서 밝힌 조기등교생 교육지원방안으로, 경기도교육청과의 교육협력사업이다.
경기도교육청의 9시 등교 시행에 따라 불가피하게 일찍 등교하는 학생들을 위해 체육이나 독서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나 공무원 임용대기자의 재능기부로 창의력교육을 하자는 구상이었다.
그러나, 이재정 도교육감이 추진한 '9시 등교'의 근본취지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경기도교육청이 반대해 도청 예산 30억원과 도교육청 대응예산 3억원을 합쳐 총 33억원이 아직 집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가 최근 중산층의 사교육비 부담 경감 대책을 논의하면서 꿈의교실 운영방식을 바꿔 교육청의 방과후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어차피 9시 이전 등교생을 위한 꿈의교실 사업이 진척이 없으니 그 대안으로 방과후 초등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력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해보자는 취지다.
방과후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9시 등교 정책 무산을 우려해온 도교육청의 반대도 없을 것으로 경기도는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 교육협력국 관계자는 "다음 주 초 교육청 관계자를 만나 우리가 마련한 방과후 프로그램 지원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개선점 등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라며 "최대한 빨리 사업을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