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땅이 없네" 곰두리체육관 재활시설 신축 포기 '황당'

편집부 / 2015-04-28 10:40:40
도로·완충녹지 편입 고려 않고 추진…뒤늦게 판단 착오 확인
기존 재활시설 증축으로 전환…장애인단체 "충북도 졸속 추진"
△ <<연합뉴스DB>>

"어? 땅이 없네" 곰두리체육관 재활시설 신축 포기 '황당'

도로·완충녹지 편입 고려 않고 추진…뒤늦게 판단 착오 확인

기존 재활시설 증축으로 전환…장애인단체 "충북도 졸속 추진"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장애인 체육시설인 충북 곰두리체육관의 재활 운동실 신축이 불가능해졌다. 충북 장애인들의 오랜 염원이 사실상 무산된 것이다.

황당한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의지가 없어서도, 재원이 부족해서도 아니라는 것이다.

건물을 새로 짓기에는 부지 면적이 좁은데도 신축으로 방향을 잡았던 충북도나 완충녹지 편입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작정 신축하겠다고 실시설계 용역을 담당한 업체 탓이다.

관련자들의 무성의와 무관심이 빚어낸 '참극'인 셈이다.

28일 충북도에 따르면 5억원을 들여 곰두리체육관에 400㎡ 규모의 재활 운동실을 신축한다는 계획이 수립된 것은 지난해 10월이다.

지난해 8월 정밀안전진단 때 D등급 판정은 받은 이 체육관의 시설 보강 공사를 추진하면서 신축 계획까지 세운 것이다.

1999년 개관한 곰두리체육관은 도내 유일한 장애인 재활·체육시설이다. 이용객이 연간 10만명을 넘는다.

이런데도 재활 운동실이 114㎡에 불과해 신축이 필요하다는 장애인들의 요구가 이어져 왔다.

충북도는 정부에서 15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받아 지난해 10월 구조물 보강 공사와 벽체 균열·배관 보수에 더해 재활 운동실 신축까지 구상했다.

기왕에 시설 보완에 나서는 마당에 장애인들의 숙원이었던 재활 운동실을 확대하자는 취지였다.

구조물 보강공사는 이미 끝났고 시설물 보수공사가 추진되는 가운데, 충북도는 지난달 말 재활 운동실 신축 실시설계까지 마쳤다.

기존 재활 운동실은 그대로 운영하되 400㎡ 규모의 건물을 신축, 장애인들의 신체 기능 회복과 사회 재활을 도모하는 용도로 쓸 계획이었다.

그러나 충북도는 돌연 재활 운동실 신축 포기를 결정했다.

실시설계 용역업자가 재활 운동실 신축에 따른 도로 편입 면적이나 완충녹지 등을 감안하지 않고 설계를 한 사실이 뒤늦게 파악됐기 때문이다.

이 업체는 400㎡ 규모의 재활 운동실 신축이 가능하다고 봤지만 도로로 편입되는 부지나 완충녹지 등을 계산해보니 신축할만한 부지 확보가 불가능했던 것이다.

이 업체는 즉시 잘못을 인정하고 용역비 포기 의사를 밝혔지만 충북도 역시 책임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도 재활 운동실 신축이 가능할 것으로 당초 판단했는가 하면 설계 용역 점검 과정에서도 이런 착오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충북도는 신축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기존 재활 시설을 증축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도는 이달 중 해당 용역업체와 계약을 해지한 뒤 건물 안전진단을 거쳐 재활 운동실 증·개축 공사에 나설 계획이다.

기존 재활 운동실을 189㎡로, 소폭 확장하는 데 그칠 뿐이어서 신축키로 했던 것과는 천양지차다.

게다가 충북도는 재활 운동실 신축 사업비 5억원을 추가정경예산에 다시 편성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이런 만큼 곰두리체육관 개보수 공사 마무리도 당초 계획이었던 오는 6월에서 연말이나 내년 초로 늦춰지게 됐다.

재활 운동실 신축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장애인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장애인단체의 한 관계자는 "충북도가 가능하지도 않은 신축을 추진했는가 하면 설계 착오를 제때 확인하지 못한 채 책임을 설계업체에만 떠미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도의 한 관계자는 "재활 운동실의 면적이 계획보다 많이 축소됐지만 장애인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