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FOMC, 다시 금리인상 '인내심' 언급할까
노동시장 부진에 1분기 예상성장률 둔화…'지난달과 큰 차이 없을듯' 전망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 미국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4월 정례회의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금융시장에서 예상하는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점점 멀어지는 양상이다.
불과 약 한 달 전에 오는 6월부터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가 오르기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었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미국 금융정보제공업체 FTN파이낸셜의 크리스 로우 수석연구원은 27일(현지시간) 온라인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관리들의 발언에서 "연준이 다시 인내심을 가질 준비가 돼 있음을 의미하는 발언 내용이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은 지난달 FOMC 정례회의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통화정책 정상화 착수에 인내심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이는 금융시장에서 머지않아 연준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졌고, 지난 2월까지만 해도 활기를 보였던 노동시장 지표와 맞물려 6월 금리 인상설로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약 한 달 사이에 미국 기준금리를 둘러싼 기류는 크게 달라졌다.
지난달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건수가 13개월 만에 20만 건을 하회한 점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시각을 흔들리게 만든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월간 비농업부문 일자리 증가량이 20만 개를 넘으면 노동시장이 호조를 보인다고 판단한다.
여기에 지난달 내구재 주문동향 가운데 방위산업과 항공 부문을 제외한 자본재 주문이 전월대비 0.5% 감소하면서 제조업 경기의 본격 회복이 지연되는 게 아니냐는 의문까지 제기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3분기에 5.0%다가 같은해 4분기에 2.2%로 내려선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 1분기에는 1%대 초반까지 주저앉을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마켓워치가 이날 발표한 설문조사에서 지난 1분기 예상 GDP 성장률은 불과 1.1%였다.
미국 금융업계의 대표적 비관론자 중 한 사람인 마크 파버가 최근 NBC와의 인터뷰에서 "간단히 말해 경기가 살아나지 않았다"며 "올해 금리 인상이 없을 수도 있다"고 말한 점도 이런 상황을 반영한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연준이 28일부터 이틀동안 열리는 회의에서 지난달과 뚜렷하게 달라진 언급을 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연준으로서도 지난 1분기 미국 경제를 부진하게 만든 요인이 서부 항만의 파업이나 날씨 같이 일회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 요인인지, 아니면 임금 인상과 소비여력 확대로 시작되는 경기 선순환의 시동이 아직 제대로 걸리지 않았기 때문인지를 아직은 쉽게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신 전문가들은 지난 3월 FOMC 회의 직후 FOMC 위원 17명 중 올해 말 예상 기준금리로 현재와 같은 0∼0.25%를 제시한 사람이 2명 뿐이었음을 거론하며, FOMC가 이달 대신 다음번인 오는 6월 회의 때 금리인상에 대해 가시적인 신호를 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지난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할 때 가격 변동이 심한 에너지와 식품을 빼고 산출하는 근원 CPI의 상승폭이 0.2%로 지난 1월이나 2월과 같았고, 이는 완만하지만 꾸준하게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됐다.
물가는 고용시장 동향과 함께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요인 중 하나다.
이달 FOMC 회의 때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별도의 기자회견을 하지 않는 점은, 기준금리 변경이라는 중요한 통화정책 전환에 대해 충분한 소통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해 온 옐런 의장의 입장을 감안했을 때 이달 회의에서 통화정책에 대해 의미있는 변화를 발표할 가능성이 크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는 한 요인이다.
도이체방크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연준의 금리 결정 과정에 물가상승 추이가 필수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연말이 되면 연준의 물가 목표치 2%에 근접하면서 연준이 금리 상승에 대해 '합리적 확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준은 지난달 FOMC 성명에서 "노동시장이 더 개선되고 인플레이션 2% 목표치를 향해 근접한다는 합리적 확신이 설 때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