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정상회담 끝나자마자 日각료 줄줄이 야스쿠니참배(종합2보)

편집부 / 2015-04-23 18:03:29
'단골' 여성각료 3명 일부러 참배 늦춘 듯…중국 "역사 직시하라"
△ (도쿄 교도=연합뉴스)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무상이 23일 오후 일본 도쿄도(東京都) 지요다(千代田)구 소재 야스쿠니(靖國)신사에서 참배를 마치고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중일정상회담 끝나자마자 日각료 줄줄이 야스쿠니참배(종합2보)

'단골' 여성각료 3명 일부러 참배 늦춘 듯…중국 "역사 직시하라"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이세원 특파원 = 중국과 일본의 정상회담 하루 만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각료가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신사를 잇따라 참배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역사를 직시하라"고 촉구했다.

23일 야마타니 에리코(山谷えり子) 국가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담당상, 아리무라 하루코(有村治子) 여성활약담당상,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총무상이 각각 야스쿠니 신사를 찾았다.

춘계·추계 예대제(例大祭·제사)나 일본 패전일(8월 15일)에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반복해 온 이들 여성 각료 3명은 21일 예대제가 시작됐는데도 참배하지 않고 있다가 제사 마지막 날인 23일 전격 참배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정상회담을 한 지 하루 만이다.

작년 제사 때는 미리 참배 구상을 밝히기도 했던 다카이치 총무상은 지난 17일 "전에 정직하게 말했더니 사설 등으로 비판받았다"며 참배 여부를 함구했고 야마타니 공안위원장은 "내각의 일원으로 적절히 판단하겠다"고 모호한 태도를 보였었다.

일부 일본 언론은 중일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각료들이 총리관저와의 교감에 따라 참배 시기를 늦췄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를 부인했다.

정상회담 다음 날 각료가 기다렸다는 듯이 참배를 한 것에 대해 중국 정부는 물론 일본 내부에서도 비판이 제기됐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일부 일본 관료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역사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이 오직 당시의 침략 역사와 군국주의를 성실하게 직시하고 깊이 반성하며 철저하게 선을 그을 때만이 중일 관계는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일본이 침략역사에 대해 직시하고 반성했던 정중한 태도와 약속을 성실하게 지키고 책임을 지는 태도로 관련 문제를 처리하기를 희망한다"며 사실상 식민 지배, 침략 전쟁을 인정하고 사죄한 무라야마(村山) 담화 등을 계승할 것도 촉구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제1야당인 민주당의 다카키 요시아키(高木義明) 국회대책위원장은 "(중국과 일본이) 우호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기에 각료가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어찌된 일이냐"고 반문했다.

마타이치 세이지(又市征治) 사민당 간사장은 "각료가 개인의 의사만으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고 몇 번이나 얘기했다. 엄중하게 비판한다"고 말했다.

내주 미국을 방문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앞서 '마사카키'(眞신<木+神>)을 봉납하는 것으로 참배를 대신했다.

'다함께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여야 의원 106명은 22일 단체로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으며 여기에는 정부 측 인사인 오자토 야스히로(小里泰弘) 환경 부(副)대신, 아카이케 마사아키(赤池誠章) 문부과학 정무관, 후쿠야마 마모루(福山守) 환경 정무관이 포함됐다.

제사 초반에는 자제하는 듯했으나 결국 평소 참배하던 이들 대부분이 참배한 것으로 보이며 전후 국제질서를 부정하는 행위라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스가 장관은 "나라를 위해 싸우다 소중한 목숨을 희생한 분에 대해 손을 모아 명복을 빌고 존경과 숭배의 뜻을 표현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각료의 참배는 개인적인 일이고 종교의 자유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야스쿠니신사에는 극동군사재판(도쿄재판)의 결과에 따라 사형된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전 일본 총리 등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해 근대에 일본이 일으킨 전쟁에서 사망한 246만6천여 명이 합사돼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