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토안보장관 "IT기업 암호화 기술 국가안보에 위협"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무차별 도청 및 개인정보 수집 논란이 불거진 이후 구글이나 야후, 애플 등 정보통신(IT) 기업들이 암호 체계를 강화하는 가운데 제이 존슨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이 이 같은 움직임을 거듭 비판했다.
22일(현지시간) 미 언론에 따르면 존슨 장관은 전날 오후 캘리포니아 주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최대 보안 콘퍼런스 'RSA 2015' 연설을 통해 "IT 기업들이 최근 시장의 요구에 부응해 암호화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 법 집행 당국과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고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존슨 장관은 특히 "사생활 보호를 위해 암호 체계를 강화할 필요성은 인정한다"면서도 "그러나 IT 기업들의 (지나친) 암호화는 정부가 범죄 행위나 잠재적 테러행위를 적발해 예방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수사 및 정보 당국의) 암호화된 정보에 대한 접근 차단은 공공의 안녕 유지에 문제를 야기한다"고 덧붙였다.
존슨 장관은 그러면서 사생활 보호와 공공의 이익, 미국 기업의 사이버안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해법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당사자인 IT 기업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협력을 요청했다.
존슨 장관의 이 발언은 2013년 6월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로 NSA의 도청 실태가 폭로된 이후 IT 기업들이 휴대전화나 이메일 등에 대한 암호 체계를 대폭 강화하면서 NSA와 FBI(연방수사국)가 영장을 갖고도 범죄 및 테러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는 우려를 제기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구글과 야후 등은 정보 당국의 거듭된 요청과 압박에도, 자신들의 시스템에 은밀히 접근할 수 있는 이른바 '뒷문'을 열어놓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백악관은 현재 범죄 및 국가안보 위협 사건 수사와 관련해선 암호체계를 우회해 특정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