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산업' 규모 2019년까지 15조원으로 키운다

편집부 / 2015-04-22 10:00:00
정보보호 서비스 '제값 받기', 관련 클러스터 조성
보안 인재 '수능 없는 대학진학', '군경 특기병' 선발도

'정보보호산업' 규모 2019년까지 15조원으로 키운다

정보보호 서비스 '제값 받기', 관련 클러스터 조성

보안 인재 '수능 없는 대학진학', '군경 특기병' 선발도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정부가 정보보호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2019년까지 국내 시장규모를 올해의 두 배가 넘는 15조원대로 키우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열린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ICT 시큐리티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미래부는 올해 정보보호 산업에 총 8천100억원 가량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최저가 낙찰제 등 기존 가격경쟁 중심의 정보보호 제품시장을 성능 중심의 시장으로 전환하고, '정보보호 성능평가'를 도입해 우수제품 선별기준을 마련키로 했다.

또 정보보호 서비스가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代價) 산정 가이드라인도 마련해 보급하기로 했다.

정보보호서비스가 제값을 받지 못하면서 업체 수익악화→우수인력 기피→기술·제품 경쟁력 저하→신규 시장 준비 미흡 등으로 이어져 온 악순환을 끊겠다는 것이다.

민간영역에서 정보보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정보보호 투자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이동통신사 품질 평가 시 '정보보호 항목'을 평가하는 안도 추진한다.

미래부는 정보보호 기업과 융·복합 테스트베드, 관제센터, 연구센터가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정보보호 클러스터'도 조성하기로 했다.

미래 글로벌 사이버보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2019년까지 혁신적·지능적·이용자 중심의 편리성을 고루 갖춘 정보보호 제품과 기술을 10개 확보하는 내용의 '글로벌 ST(Security Technology) 이니셔티브'도 전략 안에 담았다.

미래부는 정보보호 산업을 이끌 '최정예 보안 인재'도 양성키로 했다.

잠재적 우수 보안인력이 수능 없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정보보호 특성화대학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군 복무에 따른 경력단절을 없애기 위해 '군·경 사이버보안 특기병 선발'을 국방부·경찰청과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기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아카데미를 보안 인재 양성 전담기관(사이버보안인재센터)으로 확대·개편하고, 사이버 실전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실전형 사이버보안 훈련장(Security-GYM)'도 마련할 계획이다.

사이버보안의 복원력을 높이는 데에도 무게를 두기로 했다.

2019년까지 민간 주요시설 등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안전 대진단' 대상을 현행 400개에서 2천개로 대폭 늘리고 사이버 공격을 신속히 탐지하기 위한 '사이버 심층 탐지체계(DID)'도 마련한다.

또 파밍·스미싱 등 전자금융사기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해커 유인용 '사이버 트랩' 10만개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3천명 규모의 정부와 주요 기업 간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핫라인을 만들어 사이버 위협 대응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K-ICT 시큐리티 발전 전략'에 따라 정보보호 산업이 육성되면 2019년 시장 규모가 15조원에 달하고, 관련 수출액도 현재 1조5천억원 규모에서 6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정보보호 산업 일자리도 1만9천개가 창출되고, 선진국과 기술격차도 1.6년에서 0.3년으로 대폭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