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포' 세대, 청년정책 직접 만든다
올해 긴급생활 안정자금·임대주택 등 지원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서울시는 이른바 '삼포(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 세대'로 불리는 청년층을 위한 최초의 장기 종합계획인 '2020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데 청년을 직접 참여시키겠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일자리 대책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청년정책을 주거, 부채 경감, 미래 설계 문제까지 포함해 생활 안정 전반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겠다고 설명했다.
2020 청년정책 기본계획은 박원순 서울시장과 임경지 이웃기웃 청년 주거협동조합 이사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청년, 시의원, 전문가, 서울시 청년정책 관련 부서 국장 등 20명이 참여하는 청년정책위원회를 통해 수립된다.
시는 우선 올해 부서별로 추진 중인 청년 대상 4개 분야 31개 사업을 지속하면서 기본계획 수립 시 사업별로 문제점을 진단, 재설계하는 동시에 신규과제도 발굴해 반영할 계획이다.
올해는 소액채무로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돼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못하고 구직도 어려운 청년층에게 대출과 긴급생활 안정자금을 지원한다. 저소득 근로 청년을 대상으로는 '희망두배 청년통장'을 운영해 홀로서기를 돕는다.
사회초년생을 위한 공공주택 30가구, 대학생 임대주택 150가구도 공급된다.
아울러 올 하반기 서울혁신파크 내 '청년청'을 조성해 청년활동의 거점으로 삼고, 7월에는 청년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청년주간과 서울청년의회도 연다.
시가 2월부터 2개월간 청년들의 생활불안정 실태를 조사한 결과 서울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는 2005년 33.7%에서 2014년 51.2%로 늘고, 주거 빈곤율도 같은 기간 29.3%에서 30.6%로 악화했다.
청년 부채 또한 계속 늘어 정부학자금 대출 신용유의자(옛 신용불량자)가 2007년 3천785명에서 2014년 4만 635명으로 10배 늘었다.
전효관 서울시 서울혁신기획관은 "이번 계획수립을 통해 200만명에 달하는 청년들의 일자리, 주거, 생활안정을 전방위로 지원해 빈곤이 중년, 노년까지 전이되는 악순환을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