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의료원 적자경영 오명 벗나…작년 5곳 흑자 달성
전국 33곳, 적자폭 감소세…복지부 경영개선 지원 효과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적자경영의 대명사로 불릴 만큼 경영난에 허덕였던 지방의료원의 경영개선에 파란불이 켜졌다.
많은 지방의료원이 여전히 적자의 늪에 빠져 있긴 하다. 하지만 일부 의료원은 흑자로 돌아서며 재정건전성을 높이고 있다.
1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33개 지방의료원의 전체 당기순손실(적자)은 총 622억3천300만원이었다. 한 곳당 평균 18억8천600만원꼴이다. 기관별 적자는 서울의료원(분원 포함)이 108억1천3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인천의료원(분원 포함) 55억6천400만원, 안동의료원 51억1천500만원, 의정부병원 38억8천400만원, 포항의료원 34억9천700만원, 천안의료원 32억8천6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지방의료원 전체로 보면 적자상태다. 그렇지만 적자 폭은 2012년 총 863억원에서 2013년 752억5천100만원 등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흑자로 전환한 지방의료원도 점점 늘고 있다. 지난해 원주의료원·삼척의료원·청주의료원·서산의료원·서귀포의료원 등 5개 지방의료원이 흑자를 달성했다.
2013년에는 33개 지방의료원 중 청주의료원만 흑자였다. 2012년에는 지금은 경상남도가 폐업해 사라진 진주의료원을 포함해 34개 지방의료원 모두가 적자였다.
이처럼 지방의료원의 경영상태가 호전되는 신호가 나오는 것은 2013년 4월 진주의료원 폐업사태를 계기로 국회와 정부가 지방의료원 경영개선 지원에 적극 나선 게 한몫했다.
복지부는 지난해 3월부터 지방의료원에 국립대병원 의료진을 파견하고 인건비를 지원했다. 의사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의료 경쟁력과 공공의료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지방의료원별 공익적 역할수행과 경영개선 실적을 평가해 그 결과를 다음 해 예산에 반영, 목표 이행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지방의료원의 '착한 적자'를 메워주고 있다.
이를테면 지난해 진료비 정액제도에 참여한 지방의료원에 비급여환자 진료비율과 경영효율목표 비율 등을 평가해 인센티브를 최대 15%까지 제공하는 방법으로 총 205억원을 추가로 지원했다.
지난 15일부터는 인센티브를 기존 15%에서 35%로 상향 조정해 지급하기로 했다. 이 조치는 지방의료원 재정상황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부터는 지방의료원이 국가보조금으로 사들인 각종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당기손익을 계산할 때 빼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지방의료원의 부채규모는 줄어들게 된다.
복지부는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관리감독도 강화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불합리한 단체협약과 진료비 감면 등 잘못된 관행을 고쳤는지 평가해 예산지원에 반영하기로 했다.
일부 지방의료원은 직원의 퇴직이나 업무상 사망·상해 때 그 가족을 우선 채용하거나 직원 본인과 배우자, 직계가족뿐 아니라 퇴직자 등에게도 진료비를 과다하게 깎아주고 있어 국회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됐다.
복지부는 지난 15일 전국 시도 보건과장과 지방의료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의료원 경영개선' 간담회를 열어 지방의료원이 불합리한 경영 관행을 개선하도록 강력하게 주문했다.
복지부 황의수 공공의료과장은 "이르면 8월 중에 지방의료원별 경영목표와 실적, 인력현황, 인건비, 단체협약 등 표준화된 운영정보를 공시해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