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역사전쟁> ②유네스코로 간 일본의 죄상

편집부 / 2015-04-14 10:00:05
중국, 위안부 기록물·난징대학살 문건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
"일본의 반인권·반인류적 국가 범죄" "아우슈비츠 학살과 비슷"
△ 중국, 軍위안부 자료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연합뉴스 자료사진)

<동북아 역사전쟁> ②유네스코로 간 일본의 죄상

중국, 위안부 기록물·난징대학살 문건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

"일본의 반인권·반인류적 국가 범죄" "아우슈비츠 학살과 비슷"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일본이 과거사 책임을 회피하는 움직임이 교묘해지는 만큼 인근 국가인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그것을 단죄하려는 움직임 또한 강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과 중국은 동북공정이니 해서 고대사 분야에서 적지 않은 충돌을 빚기도 하지만 적어도 근대사에서 일본의 전쟁 책임이라는 문제에서는 보조를 같이한다.

중국은 한국과 무엇보다 제국주의 일본의 막대한 피해를 공유한다는 동지 의식이 있다. 그것을 대표하는 기억으로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있다. 반면 같은 제국주의 일본의 피해 혹은 희생이라고 해도 한쪽에 치우친 사건도 있다. 관동대지진과 그에 따른 학살의 주된 피해자가 조선인이라면, 난징대학살은 말할 것도 없이 중국이 막대한 희생을 봤다.

외교 군사 등의 각 방면에서 일본과 대치 일로를 걷는 중국은 유엔 산하기구 중 하나인 유네스코로 이 과거사의 기억을 들고 갔다. 한국 역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을 먼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신청했다.

'위안부, 제국 일본군대의 성노예'('Comfort Women': the Sex Slaves for Imperial Japanese Troops)라는 이름으로 중국이 등재신청한 세계기록유산 심사는 오는 6월 독일에서 열린 회의에서 결판난다.(자세한 회의 날짜와 장소는 미정).

세계기록유산은 한 번에 한 국가에서 2건까지 등재 신청이 가능하다. 한데 이번 회의에 중국은 위안부 관련 기록물 말고도 난징대학살 기록물도 함께 등재 신청을 했다. 두 건 모두 일본의 과거사 책임을 묻는 성질을 지닌다.

중국 당국이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는 지난해 6월이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이런 사실을 확인하면서 중국이 등재를 신청한 목적이 "역사를 깊이 새기고 평화를 소중히 여기며 인류의 존엄을 수호함으로써 이런 반인도적·인권침해적·반인류적인 행위가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는 이번 등재 신청이 정치성을 짙게 띠는 일임을 중국 당국이 확인한 셈이다. 유네스코는 역사를 심판하는 기구가 아님에도 실제 국제무대에서는 그것을 판가름하는 무대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언급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현재의 중·일 관계는 긴장상태가 지속하고 있으며 그 책임은 전적으로 일본 측에 있다"고 비판하면서 "최근 몇 년 사이에 일본은 역사문제에서 수레를 거꾸로 몰아 2차대전 침략 역사를 부인하고 미화를 시도하는 부정적 동향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일본은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그날 바로 "만약 중국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신청한 것으로 판단되면 항의를 하고 (신청) 철회를 요구하겠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게 중국을 비판한 일본은 정작 이번 회의에는 일제 패망과 더불어 시베리아 강제수용소에서 생활하다 귀환한 자국 군인과 일본인 관련 문건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했다.

중국은 이번 위안부 관련 기록물 등재신청서에서 이들 위안부가 "대부분 성노예로서 제국주의 일본 군대에 의해 강제로 동원했다"고 밝히면서 "1931년 이래 1945년에 걸친 일본의 중국에 대한 침략 전쟁에서 위안부 제도는 광범위하게 시행됐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제국주의 일본은 위안부를 일본, 중국, 한국,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제도만이 아니라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동원했다면서, 위안부 제도는 군사적인 일본의 반인권·반인류적인 국가 조직범죄라고 규정했다.

더불어 중국의 위안부 관련 기록물은 역사적 진실과 전쟁 범죄를 피하고자 일본이 대량으로 관련 문건을 파괴한 데다, 그나마 남은 문건도 공개되지 않는 마당에 희귀성이 남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중국이 등재 신청한 관련 기록물은 중앙당안관과 랴오닝성도서관, 지린성도서관, 헤이룽장성도서관, 상하이도서관, 난징시도서관 소장물로서, 일본군이나 그 괴뢰정부가 전시에 작성한 것과 중국 정부가 일제 패망 후 조사한 관련 자료 등으로 구성된다.

중국 측의 위안부 관련 문건 기록물 등재 움직임은 한국에서도 주시하는 중이다. 여성가족부 중심으로 관련 기록물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또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다만 성격이 비슷한 기록물은 비록 국가가 다르다 해도 공동 등재하는 경향이 강한데도 중국이 단독 등재로 가는 바람에 한국은 같은 경험을 지니며, 관련 기록물도 남은 대만과 네덜란드 등의 관련 단체와 연계한 공동 등재를 추진할 방침이다.

중국이 함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난징대학살 문건(Documents of Nanjing Massacre)은 1937년 12월 13일, 일본군대가 난징을 점령한 이후 6주간 난징 시민과 무장해제된 중국 군인들을 학살한 관련 기록물로 구성된다.

중국 정부는 이를 등재 신청하면서 난징 대학살이 규모나 성격으로 볼 때 "나치 독일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저지른 대학살과 비슷하며, 2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3대 비극 중 하나다"고 강조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