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억울함 호소하는 성완종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자원외교 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8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의획과 관련해 해명하고 있다. |
성 전 회장, 극단 선택 하루 전 결백 공개 호소
성공불융자 특혜·유용 의혹 부인…검찰 수사와 다른 부분도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자원개발 비리에 연루돼 검찰 수사를 받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9일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전날 자청했던 기자회견 내용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성 전 회장은 기자회견에서 언론을 통해 제기된 각종 의혹이나 검찰에서 자신에게 적용한 횡령·배임 혐의가 사실무근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며 결백을 주장했다.
그는 한국광물자원공사로부터 받은 300억원의 성공불융자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에 대해 "선집행 후정산 방식으로 기업에서 자금을 먼저 집행한 뒤 관련 공공기관에서 사후 정산을 하게 돼 있어 사적 유용은 있을 수 없다"고 항변했다.
경남기업만 성공불융자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외자원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은 모두 성공불융자를 신청할 수 있는 만큼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는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 캄차카 석유개발사업과 미국 멕시코만 가스탐사 등에 대한 성공불융자금의 경우 한국석유공사가 업체 선정·현장실사 등을 주관했고, 지분율에 따라 융자금이 적법하게 집행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회사가 유용한 돈은 한 푼도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성 전 회장이 언급한 내용은 검찰이 현재 들여다보는 것과 다소 결이 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이 주목하는 부분은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 사업 과정에서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경남기업에 투자상 특혜를 제공했다는 의혹이다.
사업 지분 2.75%를 보유한 경남기업이 자금난에 빠져 투자금을 제때 내지 못하자 광물공사가 2009년부터 이를 대납해줬고, 이듬해에는 지분 1.6%를 넘겨받으면서 애초 계약상에 나와있는 투자금 25%(38억원)가 아닌, 투자원금(154억원)을 모두 챙겨줬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다.
2012년 광물자원공사가 암바토비 사업과 관련해 경남기업에 제공한 130억원대 일반융자도 검찰의 의심을 사는 대목이다.
해당 융자금은 자원개발 추진을 독려하려는 것이었지만 당시에는 이미 경남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해 돈을 회수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성 전 회장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언급하지 않은 이들 의혹에는 모두 김신종 당시 광물자원공사 사장이 연루돼 있다.
검찰 수사의 애초 타깃은 경남기업이 아니라 동시다발적으로 자원개발사업을 벌이며 혈세를 낭비한 광물자원공사 같은 자원공기업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검찰은 앞서 이달 6일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 자원개발사업에 참여하며 250억여원의 회삿돈을 횡령하고 800억원대의 사기 대출을 받은 혐의 등으로 성 전 회장의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한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오늘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당사자로부터 여러 얘기를 들을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 "수사의 핵심 당사자가 없는 상황에서 관련 수사를 계속 진행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겠냐"며 안타까워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