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5년 3월 촬영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 전경과 현판. 전경 현판 |
울산민노총 총파업 찬성 저조…"현대차 조합원 표심"
찬반투표 찬성 재적대비 44%…민노총 "투표자 대비 과반 넘어"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김근주 기자 =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산하 사업장 노조가 민노총 총파업(24일 예정) 참여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를 실시했으나 찬성이 전체 조합원수 대비 과반수에 못미쳐 파업동력을 잃게됐다.
9일 현대자동차 노조 등에 따르면 민노총 울산본부 전체 조합원 4만3천명 가운데 2만9천390명(투표율 68.3%)이 이번 투표에 참여, 찬성이 재적대비 43.92%(1만8천886명)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노총 울산본부 관계자는 "투표자 대비로는 64.26%가 찬성했다"며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투표이기 때문에 찬성이 투표자의 절반을 넘겨 (파업이)가결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민노총은 전국 지역본부의 투표결과를 모두 합산해 최종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총 울산본부 조합원의 찬성이 재적대비 절반을 넘지 못한 것은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조합원들의 표심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노동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현대차 울산공장 조합원은 2만4천500명으로 민노총 울산본부 조합원 4만3천명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 울산공장 조합원이 이번 투표에 90% 이상 동참해 결국 현대차 조합원 상당수가 파업에 반대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대차 노조는 1996년 노동법 개정, 2006년 민노총 파업, 2008년 미국 쇠고기 반대 등 정치적 이슈가 있을 때마다 정치파업에 앞장섰지만 2000년대 말부터는 정치파업에 대한 조합원의 반대표가 찬성표보다 많아지면서 간부 파업으로 대체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했다.
이번 찬반투표를 앞두고 회사 측에서도 적극 대응했다.
현대차는 투표를 앞두고 "자유무역협정 반대 파업이나 쇠고기 파업 등 지금까지의 정치파업이 우리에게 남긴 것은 생산손실과 임금손실, 고객실망과 원성뿐이었으며 현대차의 파업을 반기는 곳은 무책임한 노조 상급단체와 경쟁사뿐"이라며 임직원을 상대로 호소했다.
한편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민노총의 총파업은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과 무관하게 정부 정책과 노사정 대화를 저지하기 위한 불법 정치파업"이라고 규정하며 총파업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