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또 조기 총선 가능성 제기…시리자 내분 양상
유로그룹, 24일 회의서 구제금융 분할금 지원 논의
(이스탄불=연합뉴스) 김준억 특파원 = 그리스가 국제채권단과 구제금융 분할금 지원 협상이 난항을 겪고 집권당인 급진좌파연합(시리자) 내분이 심해지면서 또 조기 총선을 치를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그리스 일간 카티메리니는 6일(현지시간) 채권단이 그리스가 분할금 72억 유로(약 8조5천700억원)를 받고자 제출한 개혁안을 미흡하다고 지적하자 시리자 내 강경파가 반발해 6월 전에 국민투표나 조기총선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유럽연합(EU)과 유럽중앙은행(ECB), 국제통화기금(IMF)으로 구성된 채권단 '트로이카'는 그리스가 지난달 제출한 개혁안의 재정수입 증대 계획들이 부족하다며 민영화 계획을 늘려야 한다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카티메리니는 시리자 정부가 협상 타결을 위해 민영화와 연금, 노동 등의 부문에서 양보할 가능성도 있으며 이 경우 파나기오티스 라파자니스 에너지부 장관 등 시리자의 강경파와 충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파자니스 장관은 치프라스 총리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가진 중진으로 전날에도 채권단을 맹비난했다.
그는 현지 언론들에 트로이카는 "믿을 수 없는 (그리스에 대한) 편견이 있고 (그리스를) 식민지로 여기고 있다"며 시리자는 총선 공약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시리자는 부채 탕감과 긴축 폐지를 내세워 지난 1월25일 치른 조기총선에서 승리해 집권했으나 지난 2월20일 기존 구제금융 연장에 합의하자 강경파의 불만이 커졌다.
치프라스 총리는 그리스와 채권단 서로에 이익이 되는 합의를 강조했으며, 연장한 구제금융이 끝나는 6월에 체결할 새 협상에서 총선 공약을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리스와 트로이카가 오는 24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재무장관 협의체인 유로그룹 회의에서 타결을 목표로 하는 협상은 6월의 새 협상 전까지 유동성을 지원하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이 협상은 독일 등 주요 채권국은 시리자에 기존 구제금융 지원조건을 이행해야만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압박함에 따라 난항을 겪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도 전날 시리자의 코스타스 츠리소노고스 의원이 조기 총선을 언급하는 등 시리자 내부에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츠리소노고스 의원은 "우리는 국민으로부터 (협상에서) 좋은 결과를 내도록 권한을 받았다"며 채권단이 시리자의 공약에 반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이에 정부가 합의한다면 총선을 치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로존 관리들을 인용해 그리스의 조기 총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FT는 유로존 관리들이 치프라스 총리가 시리자 내 강경파와 결별해야만 협상이 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 유로존 관리는 FT에 "치프라스 총리는 총리직과 시리자 당수 중 하나를 결정해야 한다"며 "이 정부는 생존할 수 없다"고 말했다.
FT는 시리자가 당내 강경파와 결별하고 전통적 중도좌파 정당인 사회당(PASOK)과 신생 중도좌파 정당인 포타미(江)와 연립정부를 구성하는 방안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FT는 아테네 정계에서는 치프라스 총리가 합의를 위해 온건한 입장을 택하더라도 당내 강경파와 충돌할 것으로 전망하기엔 이르다는 지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문제 컨설팅 기관인 옥스퍼드애널리티카 역시 지난 1일 보고서에서 시리자에 유로존에서 탈퇴하고 드라크마(그리스의 옛 화폐)로 복귀하자는 강경파가 있어 치프라스 총리가 협상 타결을 조기 총선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리스는 지난해 12월 대통령 선출에 실패한 의회가 해산됨에 따라 지난 1월 조기 총선을 치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