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는 클린턴 전 대통령, 中은 리위안차오 부주석 파견 예정
<아태정상 집결 리콴유국장…朴대통령 조문외교 펼칠까>(종합)
日·印·濠·아세안 정상들 대거 참석…장례식서 만나 환담할듯
美는 클린턴 전 대통령, 中은 리위안차오 부주석 파견 예정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9일 참석하는 '싱가포르 국부'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의 국가장례식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등 세계의 정상급 지도자들이 대거 조문을 갈 예정이어서 박 대통령이 어떠한 '조문외교'를 펼칠지 주목된다.
27일 청와대에 따르면 싱가포르 정부는 이번 국장에 동아시아정상회의(EAS) 회원국과 자국의 국방협력 5개국 협의체 등 18개국에 조문을 초청했다.
EAS 회원국은 한국을 비롯해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이며, 5개국 협의체는 싱가포르, 영국, 말레이시아, 호주, 뉴질랜드 등이다.
이들 국가의 조문 정부대표 가운데 참석이 확정된 정상급 인사는 아베 일본 총리,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토니 애벗 호주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하림 말레이시아 국왕, 응웬 떤 중 베트남 총리, 프라윳 찬-오차 태국 총리,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훈 센 캄보디아 총리,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통싱 탐마봉 라오스 총리 등이다.
미국의 경우 클린턴 전 대통령뿐 아니라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토머스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조문대표로 참석한다.
아직 참석자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중국은 리위안차오(李源潮) 부주석이 대표로 조문할 가능성이 크다는게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이다.
이처럼 아시아 지역 정상들이 대거 참석하는 리 전 총리의 장례식은 정상외교 무대로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국립대학 문화센터에서 열리는 장례식이 현지시간으로 오후 2시부터 3시간 넘게 진행되기 때문에 정상들끼리 자연스레 만나서 환담하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도 장례식 시작 전에 외국 정상들과 만날 계획이 아직 없고 장례식이 끝나면 곧바로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어서 '조문외교'는 장례식장 안으로 국한될 것으로 보인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짧은 방문 일정이며, 현지 체류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는 관계로 현재로서는 국장 참석 외 여타 참석 정상과의 별도회담 일정은 계획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이 장례식장 안에서 만날 인사들 가운데 주목되는 이는 경색된 한일관계로 인해 아직 정상회담을 하지 못한 아베 일본 총리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만난 것은 지난해 11월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때로 당시 두 정상은 업무만찬 후 짧게 대화를 나눴다고 일본 언론이 전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서울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중일 외교장관들을 만나 한중일 3국 협력관계 복원을 강조한 바 있어 두 정상이 만날 경우 어떤 대화를 나눌지 관심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