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한국상공회의소 마침내 통합…최종합의서에 서명
통합 회장으로 유재근 상임고문 만장일치 추대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지난해 2월 통합에 합의하고도 분규 상태를 지속해온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산하 재일한국상공회의소(이하 민단한상)와 일반사단법인 재일한국상공회의소(이하 법인한상)가 27일 마침내 최종합의서를 도출하고 통합을 이뤘다.
민단한상의 홍채식 회장과 법인한상의 박충홍 회장은 이날 도쿄의 주일대사관에서 '통합 일반사단법인 재일한국상공회의소 출범에 따른 최종합의서'에 서명했다. 김용길 총영사와 오공태 민단 단장도 함께 서명했다.
최종합의서에 따르면 양측은 기존 정관을 통합 단체의 정관으로 대체하고, 오는 4월 30일까지 통합 출범 총회를 개최한다.
초대 회장에는 역대 회장으로 구성된 추천위원회가 추천한 후보를 추대한다. 추천위는 이날 유재근(73) 상임고문을 만장일치로 추천했다.
또 회장단의 구성은 신임 회장에게 위임하고, 양측으로부터 35명씩 추천을 받아 총 70명(회장은 제외)의 이사로 이사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통합 단체는 민단의 산하단체로 두기로 했다.
법인한상은 오는 30일 정오까지 민단 및 민단한상의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제기한 모든 소송(가처분 신청 포함)을 취하하며, 소송의 취소와 동시에 민단도 법인한상 및 관계자에 대한 처분을 해제한다.
소송 취소와 처분 해제가 이뤄지면 주일대사관은 재일한국상공회의소의 분규 단체 지정을 해소해 달라고 한국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이번 최종 합의 사항을 위반하면 대사관으로부터 엄정한 제재를 감수하기로 하는 동시에 해당 단체와 모든 관계를 끊는 것에도 동의했다.
상공회의소는 원래 민단 산하단체였다. 그러나 지난 2005년 최종태 현 상임고문의 회장 당선을 전후해 내홍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양측은 화해 없이 평행선을 걷던 중 최 상임고문(당시 회장) 측이 상공회의소의 일반사단법인화를 추진하면서 각자의 길로 들어섰다.
최 상임고문 측은 박충홍 회장을 내세워 2011년 일본 경제산업성으로부터 '일반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 민단도 산하기구에 홍채식 회장을 중심으로 한 재일한국상공회의소를 따로 꾸렸다.
이후 박 회장은 "사단법인화한 상공회의소가 임의단체인 민단의 산하단체로 남는 것은 일본 상공회의소법에 어긋난다"며 민단 중앙본부에 산하단체 이탈을 통보했고 양측의 소송 공방이 전개됐다.
한국 정부는 양측을 분규 단체로 지정하는가 하면 대사관을 통해 중재안을 내는 등 사태를 봉합하려 했지만 팽팽한 대립은 여전했다.
그러다 2013년 12월 통합에 관한 기본합의서를 채택했다. 4차례 회의를 거쳐 최종합의서를 도출한 뒤 지난해 지난 2월 이병기 전 대사가 지켜보는 가운데 대사관 청사에서 통합에 서명했다.
민단한상은 법인한상을 반(反)민단 조직으로 지정한 것과 임원들에 대한 제명·정권(停權) 조치를 해제하고, 법인한상은 민단을 상대로 한 고소·고발을 취하하는 한편 민단의 조치가 이뤄지는 대로 민단 산하단체로 복귀해 분규 이후 통합 작업을 개시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하지만 민단의 사과문 요청과 민단 일부 중앙위원들의 강한 불만과 이의 제기로 합의 내용은 이행되지 않았다.
1년 넘게 진전 없이 오히려 갈등 관계가 악화하자 이 전 대사 후임으로 부임한 유흥수 대사가 다시 중재에 나섰다. 양측을 불러 시한을 정하고서 통합할 것을 최후 통첩했던 것. 양측은 27일 10년간의 분규를 끝내고 마침내 최종합의서에 서명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