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권 공습' 예멘 사태 일지>

편집부 / 2015-03-26 16:01:06

<'아랍권 공습' 예멘 사태 일지>



(두바이=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랍권 국가가 예멘 시아파 반군 후티를 저지하기 위해 26일(현지시간) 수도 사나를 전격 공습했다.

지난해 9월 수도 사나를 무력 점령한 뒤 정치 개혁을 내세우며 정부를 압박한 예멘 시아파 반군 후티는 지난달 6일 쿠데타로 정치적 실권을 잡았다.

후티는 유엔의 지지를 받는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이 피신한 남부 아덴까지 위협했고, 이에 걸프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한 동맹군이 군사개입을 단행했다.

다음은 2011년 민주화 시위 이후 주요 일지.

▲2011.11 = '아랍의 봄' 반정부 유혈사태. 걸프협력이사회(GCC) 중재로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 하야 결정

▲2012.2 = 살레 대통령 사퇴.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 선출. 2년 임기 과도정부 출범

▲2013.3 = 평화적 정권 이양을 위한 범국민대화협의회(NDC) 출범

▲2013.4 = 군부 인사 개편으로 셀레 전 대통령 일가 축출

▲2014.1 = NDC 연방제 전환 합의 뒤 종료

▲2014.2 = 예멘 특별위원회는 6개 주로 구성된 연방제 결정. 하디 대통령 임기 1년 연장

▲2014.7 = 경제개혁 과제로 연료 보조금 부분 철폐·연료비 인상

▲2014.8 = 북부 시아파 반군 후티, 연료비 인상 반대 반정부 시위 주도

▲2014.9 = 반군 후티, 수도 사나 공격

▲2014.9.21 = 유엔 중재로 평화협력협정(PNPA) 체결로 휴전

▲2014.11.7 = 반군 후티 요구로 새 내각 구성

▲2014.11.10 = 미국 재무부, 살레 전 대통령과 후티 지도자 압둘라 야히야 알하킴·압드 알칼리크 알후티 특별 제재대상 지정

▲2015.1.19∼20 = 반군 후티 대통령궁·사저·총리공관 등 무력 장악

▲2015.1.21 = 하디 대통령-후티, 권력분점 합의

▲2015.1.22 = 하디 대통령·내각 총사퇴

▲2015.1.25 = 유엔 중재하 후티-각정파간 정치 협상 무산

▲2015.1.30 = 유엔 중재하 정치 협상 재시도. 반(反) 후티 정파 불참으로 무산

▲2015.2.1 = 후티, 정파간 협상 시한 4일까지 설정

▲2015.2.4 = 정파간 협상 성과 없이 종료

▲2015.2.6 = 후티, 의회·내각 해산. '혁명위원회' 중심 2년간 과도통치 선언.

▲2015.2.21 = 하디 대통령, 아덴으로 피신

▲2015.2.22 = 하디 대통령, 대통령 사퇴 번복·옛 남예멘 지역 중심 반(反) 후티세력 규합 시도

▲2015.3.22 = 후티, 예멘 제3의 도시 남부 타이즈 점령

▲2015.3.24 = 하디 대통령, 유엔 안보리에 군사개입 요청

▲2015.3.25 = 후티, 아덴 북쪽 알아나드 공군기자 점령·아덴 대통령궁 단지 폭격

▲2015.3.26 = 사우디 등 아랍권 9개국 사나 공습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