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리들 "북한 상대 사이버대응 실제 있었다"
"북한 인터넷망 마비시키지는 않아"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 미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 사건을 북한 책임으로 공식 발표한 직후 북한에 대한 미국 정부 차원의 '사이버 대응'이 실제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매체 데일리비스트는 실제로 대북 사이버 작전에 참여했다는 미국 정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이 관리들은 자신들의 활동이 "북한의 전산망에도 미국의 '손길'이 닿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였다"면서도, 대북 사이버 대응으로 인해 "북한의 인터넷이 마비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2월 22일부터 북한의 인터넷 통신망이 마비되면서 북한의 주요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했고, 같은 달 30일에야 복구된 바 있다.
데일리비스트와의 인터뷰에 응한 미국 관리들은 "북한 인터넷이 마비되기 직전에" 자신들의 활동이 이뤄졌다며 "북한 전산망을 대상으로 미국 정보기관들 했던 첩보 활동에 악영향을 줄 우려 때문에 북한 전산망을 아예 마비시키지는 않으려 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북한 인터넷을 마비시킨 사람들이 누구였는지는 모른다면서도 개별적으로 활동하는 해커집단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소니 해킹을 북한 책임으로 규정하면서 "비례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고, 그로 인해 지난해 말의 북한 인터넷 마비가 미국의 '사이버 반격' 때문이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하원 국토안보위원장인 마이클 매콜(공화·텍사스) 의원이 지난 17일 한 토론회에서 "북한의 웹이 다운된 것은 소니픽처스 컴퓨터망을 교란한 데 대한 보복"이라고 말하면서 이런 의혹은 더 커졌다.
하지만, 존 브레넌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지난 22일 폭스뉴스에 출연해 북한 인터넷 마비의 원인이 미국 때문이었느냐는 질문에 "확인도 부정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