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이스라엘, 유엔인권이사회 동시 불참

편집부 / 2015-03-24 10:43:40

미·이스라엘, 유엔인권이사회 동시 불참



(제네바 AFP=연합뉴스) 미국과 이스라엘이 2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에 의한 팔레스타인 주민의 인권 침해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유엔인권이사회 특별회의에 불참해 회원국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키스 하퍼 미국 대표부 대사는 미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회의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우리는 이스라엘을 겨냥한 인권이사회의 독단적 의제, 이와 관련된 반복적이며 일방적인 결의안에 상당히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하퍼 대사는 팔레스타인 주민의 인권 침해를 다루는 인권이사회 의제 7항을 겨냥해 미국은 회의에 불참하는 대신에 표결을 요구할 것이며 표결이 이뤄진다면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제 7항에 대한 미국의 접근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의제 7항은 2013년부터 인권이사회에 계속 상정돼 논의돼 왔으며 미국은 이스라엘만을 부당하게 지목하고 있다는 이유로 이를 논의하는 회의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정책을 고수해왔다.

이스라엘 대표도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유럽본부 건물에서 열린 인권이사회 특별회의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이스라엘 대표부 대변인은 그 배경을 묻는 질문에 논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마리 하프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 미국은 이스라엘과 참석 거부를 조율했다고 말했다.

유엔의 특정 회원국과 관련된 인권문제가 인권이사회에서 해마다 다뤄지는 것은 이스라엘이 유일하다.

이스라엘은 인권이사회는 물론 이사회의 결의로 구성된 가자전쟁 조사위원회가 본질적으로 자국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조사위원의 현지 방문도 거부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인권이사회를 보이콧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유대인정착촌 건설이 팔레스타인 주민의 인권을 해치고 있는지를 조사키로 한 결의에 불만을 품고 2012년 3월부터 2013년말까지 인권이사회 참여를 중단한 바 있다.

이날 소집된 유엔인권이사회 특별회의에서는 당초 가자전쟁 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검토할 예정이었으나 이스라엘의 문제 제기로 조사위 위원장이 교체된 탓에 보고서 제출은 6월로 연기됐다.

지난해 여름에 벌어진 가자지구 전쟁은 휴전이 이뤄지기까지 50일 동안 팔레스타인인 2천140명이 사망하는 등 큰 인명피해를 낳았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민간인이었으며 그 3분의 1 가량이 어린이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