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KTX 역세권 제2 민간개발 추진…'민민 갈등' 조짐

편집부 / 2015-03-20 17:20:24
원주민 대책위 "피데스 투자자 못 구했다" 구역지정 보류 요청
도시개발사업 추진위 측 피데스 "대응할 가치 없다" 일축

오송KTX 역세권 제2 민간개발 추진…'민민 갈등' 조짐

원주민 대책위 "피데스 투자자 못 구했다" 구역지정 보류 요청

도시개발사업 추진위 측 피데스 "대응할 가치 없다" 일축



(청주=연하뉴스) 박재천 기자 = 환지 방식의 민자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KTX 오송역세권에서 제2의 민자 개발이 추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오송역세권 원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최병우)는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송정화)가 진행 중인 구역과는 다른 곳에서 역시 같은 방식의 도시개발사업을 벌이겠다는 입장을 20일 청주시에 전달했다.

원주민대책위는 그러면서 "(도시개발사업 추진위의) 개발 대행사인 피데스가 투자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파악했다"며 "시가 덜컥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을 한다면 지난번처럼 주민들이 다시 5년간 피해를 볼 수 있다. 행정절차를 성급하게 추진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최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피데스의 개발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 위임을 받아 개발을 추진한 지 1년이 넘도록 투자자를 찾지 못했다는 것이 문제"라며 "우리가 추진하는 곳은 투자자를 찾았다. 다만 두 구역이 연계 개발돼야 역세권 개발의 취지를 달성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도시개발사업 추진위와 피데스가 개발을 선점했다고 손을 놓지 말고 '민민 갈등'이 일어나기 전에 공론화해야 한다"고 시를 압박했다.

원주민대책위가 도시개발사업을 하겠다고 지목한 구역은 도시개발사업 추진위의 개발 예정지와 맞닿아 있으며 면적도 엇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피데스의 한 관계자는 "대응할 가치가 없으며 우리는 정해진 일정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뿐"이라며 "자기들 사업에 왜 우리를 끌어들이려 하는지 모르겠다"고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투자 문제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토지이용계획 등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나온 다음에 일반 투자자와 시공사, 금융기관을 접촉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공개적으로 밝힐 단계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추진위는 지난 1월 시에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요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추진위는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 일원 71만3천20㎡를 2018년 12월까지 환지 방식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당시 사업 구역 내 토지주(465명) 가운데 70% 정도의 동의를 받아 구역 지정을 신청을 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